44.220.41.140
44.220.41.140
close menu
KCI 등재
고려가요 처용가의 텍스트성 연구
A Study on Textuality of Cheoyongga, a Goryeo Song
송태윤 ( Tae Yun Song )
한민족어문학 62권 35-69(35pages)
UCI I410-ECN-0102-2013-230-002209953

1. 언어의 표면에 드러나는 형식적인 요건인 응결성을 갖추기 위한 장치로는 일반적으로 회기(recurrence), 병행구문(parallelism), 환언(paraphrase) 등이 동원되는데, 고려가요에서는 이들 장치들이 어떠한 효과를 거두고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1. 회기-처용가에서 ‘성대, 처용아바, 열병대신’의 회기는 처용아비가 열병대신을 제거함으로써 신라가 태평성대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이것은 텍스트 생산자가 처용의 위력을 텍스트 수용자의 인지 공간에 활성화시켜 오래 기억하도록 하기 위함으로 생각 된다. 1.2. 병행 구문 -처용가에서는 ‘-애/에’를 매개로 병행 구문을 잇닿게 하여 처용의 얼굴을 묘사했다. 이것은 동일한 인지 환경을 형성함으로써 수용자의 인지 공간에 등가적 구조로 머무르게 하는 의미상의 효과까지 얻고 있다. 1.3. 환언 -처용가에서는 ‘綠李야’는 ‘외야자’의 환언이다. 환언되는 내용은 등가적 관계를 가진다. 이로 인해 내 신코를 맬 사람이 확실해졌고, ‘머자 외야자 綠李여’가 부하이 거나 아래 동료라는 것도 짐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름이라는 의미상의 등가성을 통하여 텍스트의 긴밀성을 강화하고 있다. 2. 텍스트 안에서의 의의의 연속성이라고 할 수 있는 응집성은 문장 및 단락 간의의미 관계를 문장과 개념들의 관계 구조로 나타내어 거시 구조를 먼저 분석하고 이어서 미시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재 전해지고 있는 처용가는 주술성 내포 등의 주제 구조를 진솔하게 표출해 낸 것으로 파악된다. 또 처용의 행위는 무속 신앙의 무격과 같은 역할을 담담했던 인물로 볼 수 있다. 주로 명제의 연쇄에 의지하고 있는 처용가는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미시구조들이 단단한 응집성을 이루면서 거시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황성에서는 처용의 열병신에 대한 상황 점검과 관리로 열병신을 쫓아내었음을 알 수 있는데 이의 결과는 처용의 굿에 의한 플라시보(placebo) 효과라고 생각된다. 텍스트 생산자들이 지니고 있는 다른 텍스트의 지식에 의존하는 상호텍스트성에 있어서는 고려가요 처용가에 신라 향가 처용가의 삽입으로 인해 상호텍스트성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고려가요 처용가를 분석하다 보면, 시 텍스트의 해석에 있어서도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현실의 통화 행위 속에서 발휘되는 텍스트성의 여러 특성들이 시 텍스트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a text-linguistic research on Cheoyongga, a Goryeo song. aims to analyse how coherence, cohesion, intentionality, situationality and intertextuality as five of seven textuality conditions are realized in the song. 1. As devices to have coherence as a formal condition displayed on the surface of language, recurrence, parallelism, and paraphrase are used and the results analysing how they are realized in Cheoyongga are presented as follows: 2. For cohesion referring to continuance of meaning in texts, semantic relations between sentences and paragraphs are presented as a relation structure of sentences and concepts. Macro-structures were first analysed followed by micro-structures. As a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Cheoyongga expressed a thematic structure such as intention of enchantment honestly. Also it is guessed that Cheoyong was an exorcist. In Cheoyongga, micro structures are firmly cohered to form macro structures, which reveals a theme effectively. When Cheoyongga through test and control of situationality, intentionality to make language constrcuts a text with coherence and cohesion and intertextuality which depends on knowledge of other texts were analysed, it was discovered that they can be very effectively used for interpretation of poetry text. It means that many characteristics of textuality which are exhibited under communication behaviors in reality can be also applied for poetry tex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