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4.126.74
52.14.126.74
close menu
KCI 등재
방언 어말어미의 형태적 특성 연구-입말 형태 화석형을 중심으로-
A Study on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Dialectical Endings- Focus on "Fossilized Form of Colloquial Morph"-
황병순 ( Byung Sun Hwang )
배달말 51권 1-44(44pages)
UCI I410-ECN-0102-2013-710-001983922

입말은 글말과 달리 발화 단위 뒤에 말할이의 태도를 드러내는 형태(입말 형태)가 실현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입말의 발화 단위를 이루는 방언의 어말어미에도 입말의 이러한 형태적 특성이 반영된다. 이를 수용하면 입말의 발화 단위를 이루는 방언 어말어미에 입말 형태가 화석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방언의 위와 같은 형태적 특성을 고려할 경우, 방언 어말어미는 형태적 특성으로 보아 고어형과 글말형, 입말 형태 화석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어형 어말어미는 방언의 보수성이 반영된 형태이고, 글말형 어말어미와 입말 형태 화석형 어말어미는 입말 특성인 방언의 개신성이 반영된 형태이다. 이들 방언 어말어미 가운데 입말 형태 화석형 어말어미는 2단계 문법화를 거쳐 형성된다. 1단계 문법화에서는 단어가 담화표지나 양태조사로 문법화되고, 2단계 문법화에서는 문법화된 담화표지나 양태조사가 더 문법화되어 이들의 의미마저 없어진 채 선행 어말어미에 화석화된다. 입말 형태 화석형은 화석화된 입말 형태에 따라 조사 화석형과 담화표지 화석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을 다시 기원형에 따라 분류하면, 조사 화석형은 의미역조사 화석형과 문맥조사 화석형으로 분류할 수 있고 담화표지 화석형은 부사 화석형과 감탄사 화석형, 기타 화석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방언 어말어미의 형태적 특성이 방언색을 드러내기도 한다는 점에서 방언 어말어미에 대한 형태적 연구는 개별 방언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에 매우 큰 의의를 지닌다. 뿐만 아니라 위와 같은 형태적 특성을 지닌 방언 어말어미의 형성 과정에는 언어 변화의 보편적 특성도 잘 반영되어 있다. 그러므로 방언 어말어미의 위와 같은 형태적 특성은 개별 방언의 어말어미에 대한 이해 폭을 넓혀 줄 뿐만 아니라 언어의 보편적인 변화 과정인 문법화나 어휘화에 대한 이해 폭도 넓혀 주는 의의를 지닌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oken language are well reflected in the dialectical endings. The Korean spoken languages have the colloquial morph that shows the attitude of speakers after an utterance unit, differently from a written language. Because of this characteristics of the spoken language there are fossilized forms of the colloquial morph in the dialectical endings. If we accept dialectical morphologic characteristics analyzed above, we could classify the dialectical endings into a archaisms-morph form, a written language-morph form, and a fossilized form of colloquial morph. A archaic ending is originated from conservative characteristics of a dialect. And the endings of a written language-morph and a fossilized form of colloquial morph are originated from renovation characteristics of a dialect that was reflected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oken language. The fossilized forms of the colloquial morph, showing a dialectical characteristics is formed by two-step grammaticalization. A word is grammaticalized into discourse markers and modal Josa in the first-step grammaticalization. And then they are going to lose their meanings and are fossilized in a precedence ending in the second-step grammaticalization. We could group the fossilized form of colloquial morph into a fossilized form of Josa and a fossilized form of discourse markers by a colloquial morph. And a fossilized form of Josa could be classified into a fossilized form of the case Josa and the contextual Josa by its original form. Also a fossilized form of discourse markers could be grouped into a fossilized form of an adverb, a fossilized form of an interjection, and a fossilized form of other morph. Above-mention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dialectical ending may allow us to extend our understanding of not only a each dialectical ending but also a lexicalization or a grammaticalization which is a universal language changing proces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