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01.95
3.138.101.95
close menu
KCI 등재
"제주어 문학"의 가능성과 한계 -김광협의 『돌할으방 어디 감수광』을 중심으로-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Jeju dialect Literature -Focusing of Kim Kwang-Hyup`s "Greetings to Dolhaleubang"-
이성준 ( Sung Jun Yi )
배달말 51권 121-160(40pages)
UCI I410-ECN-0102-2013-710-001983957

문학작품에 제주방언을 활용한 예는 적지 않지만 본격적인 활용은 김광협의 『돌할으방 어디 감수광』부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텍스트의 ``최초성``만을 부각시키다보니 정작 텍스트에 대한 문학적인 접근은 이루어지지 못한 것 같다. 이런 기존 경향을 벗어나, 필자는 텍스트를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한편, 텍스트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텍스트는 1980년대에 발간됐음에도 1960년대 이전 사회를 제주적 원형을 갖추고 있던 때라고 상정하여, 다양한 화자를 동원하여 이 시기 제주의 풍습·제주인의 삶과 의식을 형상화하고 있다. 또한 서민과 민중 시각에서 제주를 형상화하기 위해 민요를 변용하고 있고, 다중서술방식을 채택하고 있음도 특징적이다. 그러나 ``최초``란 선구자적 업적에도 불구하고 부적절한 제주방언 사용으로 제주방언에 대한 오해와 혼란을 야기하고 있고, 제주적 상황에 맞지 않은 진술로 제주적 상황을 올바르게 표현하지 못했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는 고향인 제주를 떠나 서울살이를 오래 한 시인의 삶과 연결시킬 수 있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텍스트는 선행텍스트로서 제주어로 된 많은 시집들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제주방언으로 창작된 시집들 대부분이 1960년대 이전 시기를 ``제주적인 것``이 유지되는 사회로 서술하는 것이나, 현재적 관점이 아닌 ``과거적 제주``의 형상화, 제주의 토착적 정서를 바탕으로 제주민의 의식을 그린다는 점 등은 이 텍스트가 후행텍스트에 미친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Literary language of Jeju, using examples from a small but full-fledged use the Kim Kwang-Hyeop`s ``Greetings to Dolhaleubang``. However, by highlighting only the ``first``, I investigated the piecemeal literary approach but this text seems to have been neglected. This paper,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text, while away from the tendency of these existing, and will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text planning. This text is published in the 1980s and foremost to forestall despite not assume that it was time to the 1960s, was equipped with a circle of Jeju. Also 1960s of jeju people`s lives, juju`s customs and shaping people`s consciousness. Multiple narrative techniques adopted this time to oversee the various customs and life of Jeju that are characteristic. However, ``first`` Despite pioneering in the 1960s, use inappropriate language of Jeju and Jeju situation does not fit into a statement Jeju situation did not express correctly points can be pointed out to the limit. This point can be connected and the life of the poet, who lived in Seoul for a long time to leave hometown, Jeju. Nevertheless, this text so far as the Preceding text Jeju language poetry on having a lot of impact. Trailing text of Jeju as a creative language most of the 1960s, described as the center of that, the current look, but in the past that shape the look of Jeju, Jeju`s indigenous emotions pursued by the consciousness of my residents drawing can see the text that affects the trailing tex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