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4.150.55
52.14.150.55
close menu
KCI 등재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의 개념과 수업평가 기준 개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Recognized on the Development of Criteria on Instruction Evaluation and Concept of 'Good Instruction' for Special Education by Special Education Teacher
이혜전 ( Hey-Jeon Lee ) , 임경원 ( Kyoung Won Lim )
지적장애연구 14권 4호 197-223(27pages)
UCI I410-ECN-0102-2013-370-002114749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개념, 수업평가 실태, 수업평가 기준을 알아봄으로써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을 위한 수업평가 기준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정보를 얻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1차로 특수교사 268명을 대상으로 좋은 수업의 개념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2차로 전국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좋은 수업의 개념과 수업평가의 실태 및 기준에 대한 종합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교사가 생각하는 좋은 수업의 개념을 교육내용, 방법, 환경 및 분위기, 수업결과의 측면에서 살펴보았고, 효율적인 수업과 좋은 수업의 개념 차에 대한 인식을 정리하였다. 둘째, 특수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수업평가의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셋째, 특수교육 현장에서 느끼는 수업평가의 필요성, 바람직한 평가의 유형, 수업 평가의 대상과 결과의 활용, 수업평가 기준이 필요한 이유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넷째, 수업평가 기준 개발의 주체와 수업평가 정착을 위한 선결조건, '좋은 수업'을 위한 수업평가 요소들의 우선순위, 수업전문성 발달을 위한 지원방안과 수업평가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보상체제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을 위한 수업평가 기준 개발에 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developing instruction evaluation criteria in the special education by examining the concept of good instruction recogniz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current instruction evaluation status as well as the desirable directions and plans for future instruction evaluation criteria Hence, studies were performed twice. First, open style questionaries were used targeting 268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collect their opinions regarding good instruction concepts. Second, the survey papers were distributed to a total of 100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In the results, the good instruction concepts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nk were examined in the aspect of education teachers' perspective differences on effective instruction and good instruction were summarized. Second, the status of instruction evaluations conducted on special education sites were analyzed and the problems were reviewed. Third, the needs for instruction evaluation, types of good instruction, targets for instruction evaluation, use of the results, and the reasons for the need of instruction evaluation were also studied. Fourth, main bodies of developing the instruction evaluation criteria, prerequisites for setting down the instruction evaluation, priority evaluation factors for 'good instruction', plans to support professionalism of instruction, and effective rewarding systems to promote instruction evaluation were also studied.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on developing instruction evaluation criteria for 'good instruction' of special education as well as the implications were deduct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