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5.15.122
18.215.15.122
close menu
KCI 등재
제1차 국제학술대회 ; 미군정기 검인정 중등 문법 교과서의 문법 지식 체계 구조화에 대한 시론
A Study on the Structuring of the Grammatical Knowledge System in Secondary Grammar Textbooks Authorized during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오현아 ( Hyeon Ah Oh )
국어교육학연구 45권 309-335(27pages)
UCI I410-ECN-0102-2013-710-001984196

본 연구의 목적은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까지 미군정 당시에 이루어진 국어과 교육 중 문법 교육에 한정하여 검인정을 통해 발행되었던 문법 교과서를 사(史)적으로 고찰하여 교과서에 서술된 문법 지식의 체계를 구조화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밝히는 데 있다. 광복 이후 국어과 교육은 일본어 보급과 조선어과 위축 및 폐지라는 일제강점기의 교육의 영향 아래 교육과정, 학제, 교과서, 교수법 등의 제반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상황이었다. 따라서 광복 이후의 국어 교과서 연구는 국어 교과의 확립 및 국어 교육의 기틀 확립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시기 국어과 교육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면 1)국어교육사의 (1)종적인 차원에서는 ①국어 교과의 형성 및 교과 성격 획득 과정 관련한 연구(박영목·민현식·김종철 외, 2005; 윤여탁 외, 2006; 오현아, 2011), ②국어 교과서의 수록 제재 변천 양상에 관한 연구(조희정, 2005a; 조희정, 2005b; 조희정, 2005c; 서명희·조희정, 2006a; 조희정·서명희, 2006b; 이명찬, 2008), ③교과서 서지사항 및 단원 체계 및 내용 변천에 관한 연구(조희정, 2011), 국어과의 개별 내용 영역 변천에 대한 연구(유옥순, 1995; 고영근, 2001; 최호철 편, 2008)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그리고 (2)횡적인 차원에서는 미군정기에 한정한 검인정교과서의 소설 제재를 다룬 연구로는 최현섭(1990), 미군정기부터 1차 교육과정 고시(1956년) 전까지인 건국기에 한정한 중등 국어 교과서분석에 관한 연구로는 허재영(2005), 교수요목기를 중심으로 초등 교과서에 수록된 전래동화의 유형과 양상을 다룬 정진헌(2005)가 있다. 이상을 통해 우리는 국어교육사에 대한 심화된 논의가 전반적으로 충분하지 않지만 그 중에서도 횡적인 차원에서의 국어교육사 논의가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광복 이후 국어 교과서 연구가 이후 정부 주도의 교육과정 아래 이루어진 국어 교과 정체성 및 기틀 확립에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는 문제의식 아래 국어교육사의 횡적인 차원에서 미군정기부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까지로 시기를 한정해 문법 교과서에 기술된 문법 지식의 체계를 구조화하는 연구를 본격화하기 전에 시론으로서 이러한 연구가 국어교육 그리고 문법교육 안에서 어떠한 지정학적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문법 지식 체계의 구조화는 어떠한 방식으로 가능할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historically grammar textbooks published through authorization by the government and to show the necessity for research to structure the grammatical knowledge system presented in textbooks, focusing on grammatic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under the rule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fter the Liberation an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the Liberation, it was difficult to solve at once all problems related to the national curriculum, school system, textbooks, teaching methods, etc. establishe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which had promoted the spread of the Japanese language and the shrinkage and removal of the Korean language. Accordingly, research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after the Liberation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is closely connec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fundamental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evious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during this pe국어교육학연구45_riod can be divided into the longitudinal dimension and the horizontal dime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Studies in the longitudinal dimension include: ①studies on the format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its curricular characteristics(Park Yeong mok, Min Hyeon sik, Kim Jong cheol et al., 2005; Yoon Yeo tak et al., 2006; Oh Hyeon ah, 2011); ② studies on changes in materials includ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Jo Hee jeong, 2005a; Jo Hee jeong, 2005b; Jo Hee jeong, 2005c; Seo Myeong hee & Jo Hee jeong, 2006a; Jo Hee jeong & Seo Myeong hee, 2006b; Lee Myeong chan, 2008) and ③studies on changes in the bibliography, unit system and contents of textbooks(Jo Hee jeong, 2011) and on changes in the content areas of the Korean language(Yoo Ok soon, 1995; Ko Yeong geun, 2001; Choi Ho cheol, 2008). Among studies in the horizontal dimension, Choi Hyeon seop(1990) analyzed the materials of novels in textbooks authorized during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Heo Jae yeong(2005) analyzed second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during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until the announcement of the 1st National Curriculum in 1956, and Jeong Jin heon(2005) studied the types and patterns of traditional fairytales in elementary textbooks focusing on the period of syllabus.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advanced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not been sufficient and, in particular,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horizontal dimension have been quite insufficient. Thus, recognizing the problem that studies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since the Liberation became crucial foundation for the es국어교육학연구45_tablishment of the identity and framework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under the government led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as preliminary research before full scale studies to restructure the grammatical knowledge system described in grammar textbooks, limited the scope of research to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until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horizontal dime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and discussed the geopolitical position of such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grammatical education and how the grammatical knowledge system can be structur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