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34.178
3.12.34.178
close menu
KCI 등재
제1차 국제학술대회 ; 정교한 주목하기와 제한된 주목하기가 한국어 쓰기 짝활동에서 나타나는 양상
The Effect of Elaborated and Limited noticing in a Pair Work Activity of Korean Language
정대현 ( Dae Hyun Jung )
국어교육학연구 45권 479-508(30pages)
UCI I410-ECN-0102-2013-710-001985522

본 연구는 교실 중심의 연구로서, 텍스트 재구성화 과제를 통하여 생산된 학습자의 메타말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학습자가 언어를 선택할 때 나타나는 주의력의 개입을 두 가지 층위로 나누어 관찰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개입의 층위가 어떻게 학습자의 언어 발전의 연계성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것이다. 연구 자료는 2주간에 걸쳐서 수집되었는데, 첫 번째 주에는 학습자를 두 명의 짝으로 구성하고 텍스트 재구성화 과제(A 버전)을 완성하게 하고 이 두 명의 학습자가 텍스트를 완성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대화를 녹취하였다. 그리고 두 번째 주에 학습자 각자가 텍스트 B 버전을 완성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는 광범위한 범위의 문법 항목과 어휘 항목에 자신의 주의력을 쏟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에는 문법보다는 어휘에 주목하는 경향이 컸다. 주목하기는 정교한 주목하기와 제한된 주목하기로 구분되었다. 정교한 주목하기는 제한된 주목하기에 비하여 짝으로 이루어진 두 명의 학습자 모두에게 학습과 통합 측면에서 유익하였다.

This classroom-based study investigated the metatalk of learners working in pairs on a text reconstruction task.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d the learners` level of engagement with linguistic choices, and whether the level of engagement affected subsequent language development. Data were collected over a 2-week period. In the first week, students completed one version of a text reconstruction task in pairs and all pair talk was audio recorded. In the second week, students completed another version of the task individually. Analysis of the pair talk data showed that pairs attended to a range of grammatical and lexical items, but that the nature of their engagement ranged from elaborate to limited. Analysis of learner performance on a set of items that were common to the two versions of the text reconstruction task suggests that elaborate engagement was more facilitative of learning/consolidation for both members of the dyad than limited engagemen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