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0.185.170
3.140.185.170
close menu
KCI 등재
제1차 국제학술대회 ; 실제 중심 교육과정 관점에서 본 협상 담화의 교과서 실행 양상 탐구
A Study of the "Negotiation Discourse" Textbook Implemen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 Text-oriented Curriculum
정민주 ( Min Ju Chung )
국어교육학연구 45권 518-556(39pages)
UCI I410-ECN-0102-2013-710-001984156

이 연구의 목적은 `실제`를 강조한 국어과 교육과정 관점에서 `협상` 담화 성취기준이 교과서에 어떻게 구현되었는가를 고찰하는 것이다. `실제` 중심 교육과정의 의도가 학교 현장에 제대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특정 담화 유형과 제재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담화의 실제적 맥락을 제공할 수 있는 담화 생산 활동이 학습자들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제 아래 본고는 현행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어떻게 실행되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협상` 담화 관련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교과서 구현 양상의 적합성을 검토해 보았다. 9학년 교과서 12종을 협상 담화의 유형 및 제재, 협상 담화의 내용요소를 차원에서 검토한 결과, 동일한 성취기준인데도 교과서마다 다르게 해석하여 구현한 양상을 포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협상 담화의 생산 측면에서 볼 때, 내용요소 간 통합 양상이 외형적 통합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점과 협상 담화의 실제 맥락을 구현해 내지 못한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achievement standard of "negotiation" discourse is embodied in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emphasizes "actuality." To properly put into practice the intentions of the curriculum, discourse production activities providing an actual context for discourse based on precise understanding of specific discourse patterns and topics must be offered to learners. Keeping this in mind, this study reviewed the suitability of textbook implementation by focusing on achievement standard related to the "negotiation discourse" to understand how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2007) is implemented in textbooks. A review of 12 types of ninth-grade textbooks at the level of negotiation discourse patterns and topics and of the elements of content in negotiation discourse showed that individual textbooks implemented the same achievement standard with different interpretations. However, despite such diversity in terms of the production of negotiation discourse, integration of the elements of content was merely external and the actual context of negotiation discourse was not implement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