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89.177
3.144.189.177
close menu
KCI 등재
제1차 국제학술대회 ; 악기 연주동사 의미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Verbs of playing musical instrument
조일영 ( Il Young Cho )
국어교육학연구 45권 543-568(26pages)
UCI I410-ECN-0102-2013-710-001984161

인간언어의 근본적인 특성 중의 하나인 다의성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데 S. Ullmann은 다섯 가지 요인을 제시한 바 있다. 즉 적용의 전이, 사화환경의 특수화, 비유적 언어, 동음어의 재해석, 외국어의 영향 등이 그것이다(1962: 159~167). 이 중에서 본고에서는 주로 비유에 의해 발생되는 다의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들 단어들이 다의성을 가지게 되는 경우, 유연성이 유지되는 상태에서는 문제가 크지 않지만 유연성이 약해질 때는 직관적으로 의미 간의 유사성 또는 관련성을 추적하는데 어려움이 생기게 된다. 그렇게 되는 과정을 추적해 볼 때 동일한 의미범주로 묶여지는 단어들 간에는 공통적인 의미 속성이 의미 분화의 경계점이 될 것이라는 추측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의미 분화의 경계에 대한 인식이 다양하고 체계적이 되면 한국어 어휘의미에 대한 교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악기연주동사 간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연주동작의 의미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해 의미론적 고찰을 함으로써 어휘소들의 범주형성 양상에 대하여 살핀다. 이를 위하여 해당 동사들의 원형의미와 확장된 의미의 비교를 통하여 의미의 확장과정을 살피고 확장의미의 의미범주에 해당하는 동사들에 대하여 의미적 관련성을 점검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에서 악기를 연주하는 동작을 표현하는 동사들을 중심으로 일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동사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국어에서 연주동사는 기본적으로 악기의 특성에 따라 악기의 줄을 누르는 동작, 악기의 줄을 치는 동작, 악기의 줄을 활로 문대는 동작, 악기의 면이나 몸통을 가격하는 동작, 악기의 구멍에 입으로 바람을 부는 동작 등의 의미를 나타내는데 동작의 활성지역에 따라 동사가 세부적으로 선택되는 것은 현악기의 경우이고 타악기나 관악기는 세분되지 않았다. 한편 외국어의 경우도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결국 기본적인 동작의 의미에서 시작된 연주의미는 [戱]의 의미를 바탕으로 하여 악기를 대상으로 할 때는 [演奏]의 의미로 확장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S. Ullmann had presented five factors of occurrence for polysemy which is the one of fundamental features in human language. That is the transfer of application, speculation of social circumstances, metaphoric language, reinterpretation for synonymy, effects of foreign language. I tried to discuss in this paper, mainly, about the polysemy occurring by metonomy. When the words get the polysemy, we have not so many troubles for understanding as far as possible its motivation have maintained. But if its motivation is not maintained, we have to endure many of difficulties in pursuit of similarity or relation between meanings. We can assume that the common features of meaning may be the boundary of differentiation of meaning by chasing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So, I think that we may have expectation on the positive effect for Korean vocabulary education if we are awakening to this boundary of meaning differentiation, diversely and systematically. In this study, I tri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verbs which is the kind of playing musical instrument and the aspect of categorial formation of those words by semantic consideration for the process of getting meaning. For the purpose, I examined the process of extending by comparing basic meaning with extended meaning and I checked about semantic relation of those kind of verbs. I examined the verbs which is related on playing musical instrument in the view of semantic relation and cognitive theory. I classified performing verbs into the percussive verb /tada/, the verbrubing with bow /kj?da/, the verb with stick /chida/, the verb blowing with mouth /bulda/. In Korean verb, the basic meaning of /tada/ is [彈] in Chinese letter. /kj?da/ is same with /tada/ in Chinese, /chida/ means [打], /bulda/ means [吹]. Those performing verb is selected by activating zone of instrument, in exemple, finger with string, hand or stick with surface of drum, lips with hole of the flute or bamboo oboe. Other foreign languages like English, Japanese, French, German show similar aspects. And the basic meaning extend to the abstrct meaning when those verbs get the meaning [奏] in Chinese as performa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