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209.8
18.218.209.8
close menu
KCI 등재
특수교육 탐구방법으로써 비평적 실용주의
Critical Pragmatism as a Method of Special Education Inquiry
민천식 ( Chun Sik Min )
UCI I410-ECN-0102-2013-370-002114810

본 연구는 특수교육 탐구방법으로써 비평적 실용주의를 이해하기 위한 문헌연구로써, 문헌분석의 방법은 특수교육을 이변에서 보는 방법과 특수교육 분야의 전문적인 실제와 담론의 토대가 되는 명백한 가정에 위기감을 가지게 하고 질문을 던지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비평적 실용주의의 개념적 준거를 사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은 비평적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대화적 담론을 통한 재구조화를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 특수교육에서 비평적 실용주의의 함축된 의미라고 볼 수 있다. 둘째, 비평적 실용주의는 반기초주의의 철학적 · 정치적 함의성을 안내함으로써,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론적 구조와 도덕적 기초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비평적 사회 분석의 두 가지 현대적 방법이 내재적 비평과 이념적 유형이다. 셋째, 반기초주의의 출현 그 자체는 사회적 실제와 담론을 해체하고 재구조화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의 생산 혹은 재발견을 초래했다. 그것은 포스트모던 방법 두 가지, 즉, Derrida의 해체주의와 Foucault의 계보학이다. 해체주의와 계보학은 대륙적 또는 급진적 포스트모더니즘과 관련된 반기초적인 방법으로써, 포스트모더니즘의 진보적 해방 관점은 현대 사회지식의 네 가지 패러다임을 실용적으로 사용하도록 제안하는 반면, 급진적 견해는 네 가지 패러다임을 거부하며, 초자연과학적 패러다임의 개념에 대한 비평이다.

This article is literature study to understand a critical pragmatism as a method of special education inquiry. As method of literature analysis, I am using conceptual criteria of critical pragmatism being used as a way to look behind special education, as a way to question, and thus bring a sense of crisis to, the unquestioned assumptions that ground the professional practices and discourses of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Critical pragmatism premised on philosophical pragmatism, the progressive liberal Form of postmodernism, and it is method for de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social knowledge, practices, discourses, and institutions under conditions of uncertainty, conditions in which it is recognized that there are no independent, cognitive criteria 랙 choosing among interpretations of the social world. Second, Critical pragmatism provides an epistemological framework and moral grounding for special education to address the philosoph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 of antifoundationalism. And these include two modern methods of critical analysis, immanent critique and ideal type. Immanent critique has been understood as the driving force behind have shaped modern social knowledge, and to expose the values behind methodological approach. Third, the emergence of antifoundationalism itself has resulted in the production or rediscovery of a variety of methods for de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social practices and discourses. It is two postmodern methods, Derrida`s notion of deconstruction and Foucault`s method of genealogy. Deconstruction and genealogy are antifoudational methodologies, drawn from Continental or radical postmodernism, which, like the progressive liberal form of postmodernism, is a point of view that falls outside of the four paradigms of modern social knowledg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