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1.13.37
3.131.13.37
close menu
KCI 등재
한국어 말하기 성취도 평가에서의 평가범주의 세분화 문제 연구
A Study on Segmentation of Evaluation -Criteria in Achievement Test of Korean Speaking
이선영 ( Sun Young Lee )
우리어문연구 45권 27-55(29pages)
UCI I410-ECN-0102-2013-710-00198132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말하기 성취도 평가의 효율성과 실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한국어를 교육하는 각 기관에서는 학습자들의 말하기 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대개 분석적 채점 방법을 사용한다. 이 분석적 채점에서는 평가범주가 잘 구획되고 기술되어야 보다 효율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평가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평가범주의 세분화 문제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한 것은 첫째, 평가자들은 평가범주가 세분화된 평가지와 그렇지 않은 평가지 중 어느 것을 선호하는가, 둘째, 평가자들은 어떤 평가범주가 세분화되었을 때 평가가 용이하다고 느끼는가, 마지막으로 어떤 유형의 평가범주들이 세분화되었을 때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는가 등의 세 가지 사항이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3명의 피평가자로부터 말하기 샘플을 채취한 후 20명의 한국어 교사에게 설문과 평가를 의뢰하였다. 그 결과 평가자들은 평가범주가 세분화된 평가지를 더 선호하였으며 ‘내용’ 및 ‘정확성’과 관련된 범주가 세분화되었을 때 평가가 가장 용이하다고 느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두 가지 유형의 평가의 결과들을 비교해 본 결과, ‘내용’ 및 ‘범위’와 관련된 범주들이 세분화되었을 때 가장 유의미한 차이를 갖는다는 사실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plan of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practicality of the achievement test of Korean speaking. Each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mostly use analytical assessment to precisely assess the speaking ability of learners. The analytical assessment can achieve efficiency when its evaluation-criteria are well classified and described. Therefor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ssessment, this work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segmentation of evaluation-criteria. To do that, this researcher explored three study issues : first, which do raters prefer, an evaluation form with segmented evaluation-criteria or an evaluation form with non-segmented evaluation-criteria?; secondly, what are the segmented evaluation-criteria that make raters feel easy to assess? ; and thirdly, what types of evaluation-criteria are needed to be segmented? To address the study issues, this researcher collected speaking samples from three test takers, and then requested 20 Korean language teachers to evaluate them. As a result, raters preferred a segmented evaluation form in terms of evaluation-criteria, and it was found that they felt an evaluation easy when the criteria of ``contents`` and ``accuracy`` were segmented. And, the comparison of two different types showed that there was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when the criteria of ``contents`` and ``range`` were segment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