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53.38
18.117.153.38
close menu
KCI 등재
"하다"의 범주에 대한 새로운 접근
A New Attempt on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ha-ta"
박재희 ( Jae Hee Bak )
우리어문연구 45권 227-262(36pages)
UCI I410-ECN-0102-2013-710-001980214

이 논문에서는 ‘하다’의 범주 설정 문제를 다루었다. 전통적으로 ‘하다’의 범주는 형태론적 관점에 입각하여 그 기능에 따라 구분되어왔다. 하지만 형태론적 관점에 입각한 ‘하다’의 범주화는 17 가지의 서로 다른 범주로 너무 세분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우선 언어습득의 관점에서 ‘하다’의 범주를 17 가지로 설정하는 것이 현실적이지 못함을 지적하고, 현실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하다’의 범주를 재설정하려고 하였다. 본고에서 다룬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하다’가 어휘(lexical item), 사건(event), 명제(proposition)와 같은 의미론의 단위를 보충어로 취하고 있음을 주목하고, 보충어와 ‘하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하다’가 첫째, 단어나 어근이 용언으로 바뀔때, 둘째, 사건이 단순사건에서 복합사건으로 전환될 때, 셋째, 명제에 양태의 의미가 첨가될 때, 필수적으로 문장에 출현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하다’를 단어 또는 어근, 복합사건 구성, 양태적 의미가 첨가된 명제 등을 보충어로 하는 핵으로 규정하였다. 즉, 어휘, 복합사건, 명제 등이 통사적으로는 단어, 동사구, 절(문장)로 실현되며, ‘하다’는 동사구(VP), 형용사구(AP), 사역을 나타내는 기능구(CauseP), 부정을 나타내는 기능구(NegP), 그리고 서술구(PrP)의 핵으로 실현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I argued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ha-ta``. Traditionally, ‘ha-ta`` has been categorized based on their functions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 morphological categorization is too specific and so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17 different categories related to ``ha-ta``. This paper pointed out that the morphological categorization of ``ha-ta`` was not realistic with respect to language aquisition. Then, this paper suggested a new perspective to categorize ``ha-ta`` more realistically. At frist, this paper found what is the complements of ``ha-ta``. In fact, the complements were all semantic units such as lexical item, event, and proposition. When the lexical item becomes a verb or an adjective, the event becomes the complex event or the proposition gains the modality, ``ha-ta`` is obligatorily added in the syntactic structure. Thus, this paper explained that when these semantic units gain extra meanings and they realize as the syntactic unit, they become the complement of ``ha-ta``. ``Ha-ta`` is syntactic phrasal heads such as VP, AP, CauseP (the causative verb), NegP (the dummy verb), and PrP (the pro-verb).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