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69.152
18.222.69.152
close menu
KCI 후보
간호학생들의 무력감과―간호이미지 관계에서 임상실습만족도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Powerlessness and Nursing Image
이경희 ( Lee Kyung Hee )
UCI I410-ECN-0102-2014-500-001955959

본 연구는 지방 소재의 3년제 간호과 학생들의 무력감과 간호이미지에 대한 임상실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여 간호 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본 연구에서 무력감은 2.57점으로 중간정도의 무력감을 보였으며, 이를 비교할 수 있는 간호학생 대상의 선행 연구를 찾을 볼 수 없었다.본 연구의 무력감 문항 평균 점수별로 순위를 보면,‘실습을 하면서 내가 앞으로 간호사 역할을 해낼지 걱정이 되었다’ 3.55 점, ``자신이 원하는 부서를 내가 정할 수 없었다’ 3.31점, 나는 실습부서 환자의 상대, 투약, 간호 등에 제한되어 있었다’ 3,29점, 나는 실습 시 자신의 행동이 관찰되고 있다고 느꼈다’ 3.23점, ``실습 스케줄이 꽉 짜여 있는데 무력함을 느꼈다’ 3.03점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임상실습에서 자신의 행동결과에 대한 주체로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다는 자신감의 결여상태(Ruth, 1994) 현재 상황에 대한 통제력 결여(Koh, 2001)를 나타내는 것으로 Cho(1995)가 제시한 것처럼 간호학생들의 자아를 강화하고, 의견, 가치, 생각을 존중해주며, 느낌을 표현하도록 하고, 선택권이나 결정권을 부여하거나 올바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그들에게 힘을 줄 수 있다. 암상실습이 기존의 학습전략과 다르게 학생중심에 두고 그들이 만들어가는 임상실습모델의 제시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임상실습만족도는 3.40점으로 Kim (2009)의 3.44 점과 비슷하였고, 5개 지역의 3년제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Kim과 Oh (2000)의 2. 96점, 일개 광역시 3년제 2, 3학년을 대상으로 한 Yang (2000)의 3. 28점, Lee 등(2004)의 2.91점, Gu (2008)의 3.01점보다 높았다. 그러나 임상실습만족도의 하위영역 중 실습평가만족도가 2.94점으로 가장 낮았는데 이는 Kim (2009)의 지적대로 실습평가내용 및 개인 실습점수의 미 공개에 따른 불안감과 관련이 있고, 그 내면에는 임상실습 성적이 취업과 연관되므로 간호학생들이 실습평가에 민감해있으며, 자신이 기대했던 것보다 임상실습점수가 낮은 평가였기 때문에 실습평가만족도를 낮게 응답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는 평가기준의 마련과 공개가 필요하므로 실습평가기준을 새롭게 모색해보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 간호이미지 점수는 3.68점으로 서울과 경기도의 3년제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Choi와 Ha (2009)의 3.74점 보다 낮았지만 4년제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Kang과 Kim(2002)의 3.78점과 비슷하였고, 3년제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Yang (2003)의 3.38점, 서울과 충북지역의 3년제 간호학생 들을 대상으로 한 Lee 등(2004)의 3.49점보다 높았다. 이는 Yee (2004)의 지적처럼 아직 간호 실무를 겪지 않은 간호학생 들이 미래의 간호직에 대한 기대수준을 나타낸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대상자들이 큰 기대감을 가지고 서울의 대형 병원에서 원정실습을 경험하였기 때문에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았던 것과 함께 긍정적인 간호사와 만족스러운 실습병동으로 인하여 간호이미지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Kang & Kim, 2002). 따라서 간호사들은 자신들이 간호학생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인식하여야 하고, 본 연구결과에서 간호이미지 중 개인적 간호이미지를 가장 낮게 평가한 것을 알 고 이를 높이는데 간호사 개개인의 노력이 있어야 한다. 또한 Kim과 Kim (2001)이 말한 것처럼 사회의 긍정적 간호이미지는 간호사의 신념과 가치,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며 간호의 질적 수준을 높이므로 간호학생들에게 사회에서 보는 간호를 현실 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면서 사회가 인정하는 간호전문직으로서 의 성장을 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사 및 간호교육 자는 간호학생들에게 긍정적인 간호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전문직으로서 자율성과 독자성을 가지고 있는 실제 역할 모델을 보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상관관계에서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을수록 무력감 이 낮고, 무력감이 낮을수록 간호이미지가 높다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을수록 간호이미지가 높다는 본 연구결과(r=523, p<00l)는 Lee 등(2004) 의 연구(r=323, p<001)보다 더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간호학생들에게 임상실습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나타낸 것으로 Lee 등(2004)은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으면 간호이미지가 좋게 형성되며 간호사에 대한 정체성을 확고하게 하고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한다고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무력감은 임상실습만족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β=-.382, p<.01)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력감은 간호이미지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β=-.227, p<.05)에서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학생들의 무력감이 임상실습만족도 와 간호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를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선행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으나, 무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통제력의 상실과 지식부족이라고 주 장한 것을 볼 때(Kim, 1996), 간호학생들은 임상실습을 하면서 자신이 상황을 통제할 수가 없는 경우가 발생하고 지식의 부족을 경험하기 때문에 무력감이 높아지고 임상실습만족도가 낮아진다고 볼 수 있다. 더구나 간호학생들은 병원 환경 속에서 힘을 가장 적게 갖고 있으므로 무력감을 경험하게 되고 Kim, 1996), 무력감이 높아지면 간호이미지는 낮아짐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학생들에게 심리적 통제력을 회복하고 지식을 증진시키며 실현가능한 목표를 설정하도록 하는 한편,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하는 무력감에 대한 중재방안이 필요하다.또한 본 연구결과에서 임상실습만족도가 간호이미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β=530, p<01)의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rk과 Yang (2002)도 부정적인 임상 실습경험이 바람직하지 못한 간호이미지를 형성한다고 하였으며, Lee 등(2004)의 연구에서 임상실습만족도가 간호이미지 중 전통적 이미지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β=312, p<01)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과 비교할 때 임상실습만족 도가 높을수록 간호이미지가 높아진다는 결과를 지지하였다. 따라서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간호이미지를 형성하는데 기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무력감과 임상실습 만족도를 동시에 투입한 상황에서 간호이미지에 대한 무력감 의 영향이 유의하지 않으므로 Baron과 Kenny (1986)가 제시 한 매개효과가 성립되기 위해 충족되어야 하는 네 가지 조건들을 충족시키고 있었다. 따라서 무력감과 간호이미지의 관계에서 임상실습만족도가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무력감이 임상실습만족도의 매개를 통해서 간호이미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간호학생들의 무력감이 높으면 간호이미지가 낮아지는데 임상실습만족도를 높임으로써 간호이미지를 높일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따라서 간호학생 들의 임상실습만족도를 강화시켜 간호를 긍정적으로 바라 볼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며, 간호교육에 있어 임상실습교육에 대한 전략을 병원과 함께 구축할 수 있는 실질적 네트워크를 마련하여 간호학생들이 임상실습 과정에서 느끼는 무력감을 낮추 고 바람직한 간호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powerlessness of nursing students influenced their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noising image, and how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lessness and noising image. Method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from 107 junior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2.0. Results: Powerlessnes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fluenced nursing imag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vided complete mediation between powerlessness and nursing image. Conclusions: Nursing students need to reduce their powerlessness and increas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to enhance their image of nursing.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