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94.251
3.145.94.251
close menu
KCI 등재
고도 전문화 시대의 언어 인식과 교육적 대응
Language Awareness and Educational Tasks in a Highly Specialized Society
민병곤 ( Byeong Gon Min )
국어교육학연구 46권 77-109(33pages)
UCI I410-ECN-0102-2014-700-001493125

이 논문은 고도로 전문화된 현대 사회에서 담화의 전문화에 따른 언어문제와 언어 인식에 대하여 논의하고 그 교육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자는 고도 전문화 시대에 제기되는 언어 문제의 성격을 고찰하고(2장),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요구되는 언어 인식의 두 측면을 살펴본 후(3, 4장), 언어 인식 제고를 위한 국어 교육의 과제를 제안하는(5장)방식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필자는 지식 정보화 사회의 도래가 전문화된 담화를 양산하게 만들고 이로 인하여 생겨나는 지식의 불평등과 의사소통의 위기가 고도 전문화 사 회 언어 문제의 본질이라고 규정한다. 그리고 언어 인식의 문제를 기능적 언 어 인식과 비판적 언어 인식의 두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전자는 전문가 집단 내에서 개인의 직무 수행과 관련한 언어 인식의 문제이고, 후자는 전문가 집 단과 비전문가 집단 간의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언어 인식의 문제이다.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하여 필자는 ``한국 표준 직업 분류``를 바탕으로 전문 분야를 ``관리자, 과학·정보통신·공학 전문가 및 기술직,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교육 전문가 및 관련직, 법률 및 행정 전문직, 경영·금융전문가 및 관련직, 문화·예술·스포츠 전문가 및 관련직``의 일곱으로 나누고각 직군에서 요구되는 언어 인식의 문제를 기술하고 전문가 집단과 비전문가 집단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비판적 언어 인식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도 전문화 시대 언어 인식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국어 교육의 과제 네 가지를 제기하였다. 첫째, 언어 기술의 이론적 기반을 기능주의 적 접근으로 확장하는 문제, 둘째, 문법 또는 국어 지식의 내용을 언어 기능영역의 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재구성할 것, 셋째, 전문적 담화에 대한사회적 소통을 활성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여 전문 분야 담화를 재구성하게 할 것. 넷째, 담화 분석 및 언어 인식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확대할 것.

The present study discusses language awareness and the educational responses to it in a highly specialized society . For this author, the problem of language awareness arises from both the inequality of knowledge and the crisis of communication that has its origins in an age of information and mass production of specialized discourse. The former is related to communication among specialists and the latter between specialists and non-specialists. In order to resolve these issues, the author classifies the specialized areas into seven categories: management; science, information and engineering; health, social welfare, and religion; education; law and governance; business and finance; and culture, art, and sports. In addition, he describes language awareness through each of these categories and argues that critical language awareness is necessary for communication between specialists and non-specialists. Finally, he discusses the educational tasks required to resolve problems, such as a more functional approach to language and school grammar, the cultivation of discourse among specialists, the reconstruction of various special discourses for non-specialists, and a more critical approach to discourse analysis and language awarenes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