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218.147
13.59.218.147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계속감사기간에 따른 회계정보유용성의 차이: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을 중심으로
Research Articles : Investors` perception of differences in audit tenure using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김정옥 ( Jeong Ok Kim )
회계학연구 38권 2호 145-178(34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02161

본 연구는 외부감사인의 계속감사기간이 경영자가 제공하는 회계정보의 유용성과 유의한 연관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투자자의 관점에서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계속감사기간에 따라 감사인 제공하는 서비스는 차별적인 특성을 보일 것이고 이는 경영자가 공시하는 회계정보의 신뢰성의 차이로 연결된다(Jackson et al., 2007; Davis et al., 2002; Myers et al., 2003; Geiger and Raghunandan, 2002 등). 왜냐하면 경영자가 공시하는 재무제표는 독립적이고 전문가적 적격성을 갖춘 외부감사인으로부터 검증절차를 거치게 되며 따라서 외부감사의 특성은 회계정보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다수의 선행연구에 의해 감사인의 특성이 회계정보의 품질과 관련이 있다는 결과가 제시되었지만 실제 회계정보를 이용하는 투자자들이 이러한 차이를 인지하고 이를 그들의 의사결정에 반영하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는 매우 제한적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투자자의 관점에서 감사인의 특성에 대한 평가를 조사하는 것이 그 목적이며, 투자자의 관점을 조사하기 위하여 회계정보와 기업가치와의 회귀를 통해 계속감사기간에 따라 투자자들이 회계정보를 차별적으로 그들의 의사결정에 반영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회계정보의 유용성에 대한 측정치로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을 사용하기로 한다.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은 회계정보의 질에 대한 측정치로 회계정보가 시장에서 투자자로부터 어떻게 평가되는 지를 가늠할 수 있게 한다.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은 재무제표를 구성하는 각 요소, 즉 장부가치, 이익 및 현금흐름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하는 것으로 측정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부가치, 순이익 및 현금흐름 정보를 기업가치와 회귀한 결과 계속감사기간이 길어질수록 모형의 설명력은 대체적으로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계속 감사기간이 장기인 그룹이 단기인 그룹에 비해 장부가치, 순이익 및 현금흐름의 회귀계수값이 모두 높았으며, 각 변수에 대한 모형의 설명력도 모두 높았다. 셋째, 계속감사기간이 장기인 그룹에서는 순이익에 비해 장부가치에 대한 상대적인 신뢰성이 높았으며, 단기인 그룹에서는 순이익에 대한 신뢰성이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은 상대적인 신뢰성 차이는 단지 계속감사기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감사대상회사의 고유특성에 기인하였을 가능성이 더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계속감사기간이 장기인 그룹과 단기인 그룹의 감사대상회사 고유특성을 비교한 결과 장기그룹에서는 부채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Non-Big4 감사인으로부터 감사를 받는 비율이 높았다. 이를 통해 투자자들은 기업가치 평가시 감사인의 특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고유특성까지 고려한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넷째, 추가분석으로 감사인 교체 전·후 연도에 투자자의 회계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감사인이 교체된 후에 순이익의 상대적인 신뢰성이 월등히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계속감사기간과 회계정보의 유용성 관계에 감사인의 규모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감사인 규모 변수를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계속감사기간과 감사인 규모는 서로 상호작용하여 투자자들의 기업가치 평가에 반영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투자자들의 관점에서 기업을 이해하는 정도를 살펴볼 수 있게 해 주며, 또한 투자자들은 기업가치 평가시 기업의 외부적, 내부적 특성을 모두 고려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여 줄 것이다. 또한 기업관계자나 재무분석가 등이 기업에 관한 정보를 공시함에 있어 투자자들의 정보에 대한 수요 및 흡수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여 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question whether investors consider the potential differences in audit quality related to audit tenure when they determine the firm value. Audit tenure has received a lot of attention as an audit quality. But the opinion regarding the role of audit tenure divide into two assertion. The one is auditor independence is damaged by long audit tenure. The other is the expertise of auditor is increased by long audit tenure. But those two conflicting opinion has not settled yet.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investors` perception of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udit tenure. Because archival evidence showing that investors indeed recognize audit tenure as such is scanty. Specifically, we investigate whether the market assigns predictably differential credibility to accoun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udit tenure.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audit tenure increase, the credibility to accounting information is increasing. This evidence provides that investor give more credible weight to accounting information when audit tenure is increasing. And auditor independence is not defected by long audit tenure when investor asses the firm value. On the other hand, investor put the more weight to expertise of auditor according to long audit tenure. Second, the value relevance of book value is higher relative to that of net income if the firm receives audits from same auditor for a long time whereas the value relevance of net income is higher relative to that of book value if audit tenure is shorter. And cash flows have higher value relevance relative to net income when audit tenure is longer and vice versa. This is consistent with the interpretation that investors assign more weights to net income when they find net income is more credible, thus cash flows become less value relevant, and vice versa. This suggests that these factors should be additionally considered when researchers examine differences in the audit quality of audit with a differential audit ten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