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97.189
3.144.97.189
close menu
KCI 등재
“두률(兜率),사뇌(詞腦),차사(嗟辭)”의 어의(語義)에 대한 소고(小考)
The Meanings of dosol, chasa and sanoe
박재민 ( Jae Min Park )
고전문학연구 43권 3-31(29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2069815

본고는 『삼국유사』의 유리왕조에 보이는 “시작두솔가(始作兜率歌), 유차사사뇌격(有嗟辭詞腦格)”에 들어 있는 세 난해어(難解語)인 ‘두률(兜率)·차사(嗟辭)·사뇌(詞腦)’의 어의(語義)를 규명한 결과물이다. 그 간 이 구절은 민족 최초의 ‘가악(歌樂)’을 증언한 곳으로, 혹은 향가와 관련된 ‘사뇌(詞腦)’ 의 의미를 풀어줄 결정적 단서로 활용되며 연구자들의 비상한 관심을 끌어왔었다. 하지만, 부단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두률(兜率)·차사(嗟辭)·사뇌(詞腦)’의 의미는 선명한 해결을 보지 못하였다. 본고는 이를 문헌에 바탕하여 풀이한 것으로 그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두률(兜率)’은 불교용어 ‘두률천(兜率天)’에서 유래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간 여러 선학들은 불가(佛家)의 ‘두률(兜率)’이 지닌 ‘환강(歡康)’의 속성과 유리왕대의 ‘두률가(兜率歌)’가 지닌 ‘환강(歡康)’의 의미가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음을 목격하였으면서도, 유리왕대의 ‘두률(兜率)’을 ‘고유어의 음사(音寫)’로 이해해 왔다. 유리왕대는 아직 불교가 수입되기 이전이라는 점을 들어서였다. 하지만, 본고는 이와 견해를 달리했다. 불교가 수입되기전의 사실(史實)을 기록할 때, 후대인들이 ‘현재적 용어’로 바꾸어 쓰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두률(兜率)’ 역시 이와 같은 궤(軌)의 현상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를 방증하기 위해 『삼국유사』·『삼국사기』·『고려사 악지』 등에서 몇 용례를 들었다. 2. ‘사뇌(詞腦)’의 의미는 신라인의 이해를 벗어나, 고려인의 이해를 통해 규명하였다. 그간 우리는 이 말의 의미를 신라인의 상용어(常用語)로만 이해한 측면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발굴되고 있는 적지 않은 용례의 ‘사뇌(詞腦·思惱·思內·詩腦)’들은 모두 고려인의 일상어였음을 증명하고 있다. 즉, ``경찬시뇌가(慶讚詩腦歌)·기사뇌가(碁詞腦歌)·사뇌사(思惱寺)·사내사(思內寺)’ 등에서 보이듯이 11~13세기에 집중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이 어휘가 고려인의 일상어였다면, 우리가 그간 견강부회라고 보았던 고려인(高麗人) 혁련정의 언급-의정어사(意精於詞) 고운뇌야(故云腦也) -또한 소홀히 할 수 없게 된다. 여기에는 당대(當代)의 의미 범주가 반드시 반영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고려 시대에 ``사뇌’란 말은 항상 ``청(淸)·정(精)·려(麗)·찬(讚)·아(雅)·고(高)·가(嘉)’ 등의 의미 범주에 있었다. 이로 본고는 ``사뇌’의 의미를 그러한 범주로 설정할 것을 요청했다. 3. ‘유차사사뇌격(有嗟辭詞腦格)’의 ‘차사(嗟辭)’ 또한 의미가 재규정되었다. ‘차사(嗟辭)’는 그간 많은 번역서들에서 ‘슬퍼하는 말’로 풀이되거나, 국문학계에서 역시 단순히 ‘감탄의 말’로 이해되어 왔지만, 본고에서는 ‘차(嗟)’가 지닌 또다른 의미인 ‘찬미(讚美)’ 또한 고려의 대상에 넣어야 함을 주장했다. 그렇게 될 때, ‘유차사사뇌격(有嗟辭詞腦格)’은 ‘찬미의 말로 사뇌의 격조가 있었다.’로 해석되어 전후구가 잘 호응되기 때문이다. 현화사 비문에 기록되어 있는 ?경찬시뇌가(慶讚詩腦歌)? 역시 ``차(嗟)’자(字)와 관련되어 있는데, 여기서의 ``차(嗟)’ 또한 ``찬미(讚美)’의 의미란 것도 하나의 유력한 근거가 된다고 보았다. 결국 “시작두솔가(始作兜率歌), 유차사사뇌격(有嗟辭詞腦格)”는 “비로소 (왕의 선정과 시절의 승평함에 대한) ``지족(知足)의 노래[두률가(兜率歌)]``를 지으니 ``찬미하는 말[차사(嗟辭)]``로 ``사뇌[청(淸)·정(精)·려(麗)·찬(讚)]로운 격조’가 있었다.”로 풀이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meanings of the three controversial terms: dosol, chasa and sanoe. These terms are related to Dosolga, a court song made in the period of King Yuri. These three terms have drawn attention by giving the significant clues about the meaning of the sanoe, a core term of the hyangga. However, the meanings of those three terms have not been clarified thoroughly despite the continual efforts in academia. Therefore this article verified the meanings of the three therms: dosol, chasa and sanoe, based on ancient archives. Dosol is interpreted to be originated from dosolcheon, which is a Buddhist term. Scholars have not accepted such an interpretation although they recognized that the meaning of the buddhist term, dosol, that is satisfaction, corresponds exactly to the context of the Dosolga. They emphasized that the Buddhism had not been imported yet during the period of King Yuri. However, this article reinvestigated this factor. When it comes to ancient Korean history narration, the historical facts before the import of the Buddhism were often recorded with Buddhist expressions, and so was in the case of the dosol. This article selected some examples to verify this fact in Samgukyussa, Samguksagi and Koryosa-akji. The meaning of the sanoe was verified through not only the interpretation in the Silla kingdom but also through that in the Koryeo dynasty. This term has been merely interpreted as a word of Silla people by contemporary scholars. However, many examples were discovered recently, which revealed that the term, sanoe was a common expression of Koryeo people. The term was discovered in the materials from the llth century to 13th century intensively, meaning that the term was used a lot in the Koryeo period. If we admit this fact, we cannot neglect the criticism by Hyeok Lyeon-jeong, a monk of the Koryeo dynasty. He interpreted sanoe as "subtle phrases". During the Koryeo period, the sanoe was always associated with a certain semantic category, which connotes serenity, preciseness, splendor, glorification, grace, sublime and beauty. These connotations should be considered when it comes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sanoe. Chasa was also reconsidered. It has been interpreted as mourning words or merely exclamatory expressions. However, this article argued that another meaning of cha[嗟], that is "to glorify", should be considered. This interpretation makes the phrase "Yu-chasa-sanoe-gyeok[有嗟辭詞腦格]" more understandable; it means "to have the style of sanoe with glorifying phrases". Gyoungchan-sanoega, which is inscribed in the epitaph of Hyoun-hwa temple, is also related to cha[嗟], and the word signifies glorification in this case too. In conclusion, the phrase, "Sijak-Dosolga, Yu-chasa-sanoe-gyeok"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Song of Satisfaction was composed for the first time, and it contained the style of sanoe with glorifying phras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