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169.50
18.218.169.50
close menu
KCI 등재
가사 <신가전(申哥傳)>에 나타난 혼인의 양상과 여성의 욕망
The Study on woman`s desire of Gasa
송소라 ( So Ra Song )
고전문학연구 43권 63-101(39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2069835

본고는 그간 학계에서 활발한 관심을 받지 못한 가사 <신가전>을 여성 인물의 욕망과 좌절의 측면에서 새롭게 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가사 <신가전>은 혼인을 주된 사건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당대 혼인의 양상과 의미를 보다 면밀히 살펴볼 필요성을 갖는다. 이에 본고에서는 일차적으로 <신가전>에 나타난 혼인의 양상을 가문의 결합 측면에서, 혼인 제도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로써 <신가전>의 특징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는 장대한 혼수 사설이 가문 결합의 측면에서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의미를 가짐을 이끌어 내었다. 즉, 딸에 대한 어머니의 사랑, 혼인에 대한 어머니의 정성이라는 기존의 해석에 더해 재물에 대한 자부심 및 자랑, 가문의 격차를 재물로 해소하고자 한 한림댁의 의식을 추출한 것이다. 또한 <신가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남귀여가혼속(男歸女家婚俗)을 통해 이것이 의미하는바를 따져봄으로써 과부 한림댁이 딸의 혼인 파경으로 삼일 만에 죽었다는 서사를 보다 타당하게 설명해내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다루었는데, 혼인을 통해 기대한 바가 무엇이었는가를 한림댁과 딸의 내면에서 살펴보고, 그것이 좌절되는 과정 역시 인물의 내면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림댁은 남편과 일찍 사별하고 딸 하나를 둔 청환거족의 양반가 여성으로 딸의 혼인을 통해 다음의 두 가지를 기대, 혹은 욕망하였다고 할 수 있다. 첫째는 아주 일차적인 것으로 모성에 기반을 둔 딸의 행복이다. 부유한 집안의 잘난 남편을 만나 행복하게 살아갈 자신의 딸에 대한 기대이다. 그러나 두 번째는 자신과 좀 더 밀접한 것으로 딸의 행복을 통해 얻게 될 노후의 안락이다. 남편도 아들도 없는 한림댁이 의지할 대상은 오직 딸과 사위이다. 그리하여 한림댁은 재산상속의 측면에서, 그리고 가문의 자존심의 측면에서 모든 혼수를 동원하였던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한림댁의 내면을 중요하게 보고자 하였다. 딸 역시도 혼인을 통해 다음의 두 가지를 기대하였다고 보았다. 첫째는 16세의 여인이 일반적으로 희망하는 이성적으로 매력적인 남편에 대한 기대이다. 그리고 두 번째는 여느 사대부가 여성답게 번듯한 남편 아래 자녀를 낳으며 안정적인 가정을 꾸리는 것이다. 이는 그녀의 어머니 한림댁은 이루지 못한 것이기에 두 모녀에게 보다 절실한 삶이 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고는 이와 같은 모녀의 욕망이 어떻게 좌절되고, 또 어떻게 비극을 맞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신랑의 괴약한 외형에 주목하여 이를 대하는 한림댁의 태도를 통해 그가 단지 못생긴 것만이 아닌 비정상적인 형태의 인물임을 추론하였고, 이로써 그가 영민하지 못한 사람이라는 이미지로 두 모녀를 절망하게 하였음을 언급하였다. 다음으로 性 능력의 결함이다. 이는 작품에서 아주 중요한 혼인 파탄의 사유이다. 본고는 선행 연구가 신랑의 성 능력의 결함을 여성의 적극적 성 의식의 반영으로 본 것을 넘어, 여기서의 성을 단순히 쾌락으로써의 성이 아닌 자손 번영의 측면으로 파악하였다. 혼인에서 ‘性’의 문제는 자손, 즉 가문의 유지와 영속의 측면에서 아주 중요하다는점을 생각할 때, 이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결국 <신가전>의 신랑은 영민하지 못하기에 벼슬을 통해 현재의 행복을 가져다 줄 수도 없고, 고자이기 때문에 자녀를 생산하여 미래의 행복을 가져다 줄 수도 없는 그야말로 불구의 사람이다. 한림댁이 딸의 혼인 삼일 만에 죽을 수밖에 없었던 것, 어머니의 죽음 이후 딸마저 자진하려한 것은 이 모든 정황 속에서 보다 온전히 해명이 될 수 있다. 본고는 이를 통해 이 작품의 주제의식을 인간 욕망의 헛됨에 대한 자각과 경계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두 모녀의 비극이 잘못된 혼인제도, 여성에게 불합리한 사회제도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기존의 견해를 인정하면서도, 한편으로 다른 측면의 해석도 가능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한림댁과 그녀의 딸은 혼인을 통해 당대 양반가 여성이 누릴 수 있는 보편적 지위를 희구하였다. 그들이 그토록 혼인에 공을 들이고, 사위를 고르고 고르며, 온갖 혼수를 준비하며 혼인에 임한 것은 그 반대급부를 결코 무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러한 기대는 전혀 예상치 못한 곳에서 산산조각이 나고, 결국 딸은 불가에 귀의하여 70년의 여생을 살다 죽고 만다. 어째서 굳이 불교적 서사를 넣었는가. 본고는 이 작품이 ‘딸은 결국 절로 들어가 여승이 되었다’는 간단한 서술로 작품을 매듭짓는 것이 아니라, 이후 여생을 아미타불하며 살았다고 서술하는 점, 그리고 말미에 경세의 의미를 담는 것에 좀 더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로써 이 작품은 인생무상과 욕망의 헛됨을 말하며 운명대로 살길 바라는 주제의식을 노출하고 있다고 해석하였다.

This study provides a new interpretation on , a gasa or a Korean ancient lyric form, from a perspective of the desire and the disappointment of the female character in the work. Since gasa handles a marriage as its main affair, the meaning of marriage in the era of the work should be investigated thoroughly. Therefore, first, this study reviews the trend of marriage illustrated in from the perspectives of a union of families and the marriage system. With the review, it is drawn that the hefty furnishing for the marriage, a characteristic of , has specific and realistic meanings for the union of families. Next, what would be the expectations for the marriage is reviewed through the thoughts of Hanrim-daek and her daughter. And, the course of the expectation being failed is also reviewed by focusing on the inner sides of the characters. At last, the study discusses the subject consciousness of the work as an awareness and a warning for the vanity of the human desire since while the existing opinion that the tragic of the mother and the daughter is caused by the wrong marriage system and the unreasonable social system for women is admitted, any interpretation from different aspect is determined to be possible. Hanrim-daek and her daughter desire for the general position a noble class lady in the era could possess. The reason that they involve themselves to the marriage by paying such attention, continuous selections for the husband and preparation for the furnishing for marriage is they never ignored the benefit in return. However, such expectation is shattered into many pieces for the entirely unexpected incident. And, consequently, the daughter becomes a Buddhist monk and dies after living 70 years of her life. Why the Buddhism is to be employed as a motive? This study pays more attentions to that the description for the daughter`s being a Buddhist monk indicates that she lives later life learning Amitabha and that the work contains the meaning to warn the world in its conclusion. And, with this, the study interprets that this work reveals the subject consciousness proposing to live as the fate by telling a Buddhist realization, that is, the vanities of life and desi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