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9.22.169
18.219.22.169
close menu
KCI 등재
성(聖)과 속(俗)의 경계(境界),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신발 한 짝"
“A Shoe” of the Samkookyusa; A Boundary between Sacred and Profane
이강엽 ( Kang Yeop Lee )
고전문학연구 43권 103-128(26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2069840

이 글은 성(聖)과 속(俗)의 경계(境界)라는 관점에서, 『삼국유사(三國遺事)』의 몇몇 설화에 등장하는 ‘신발 한 짝’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이는 그간 신발을 신발 주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수단으로 인식해오던 한계를 넘어 주제적인 국면까지의 해명을 시도한 것이다. 첫째, ‘신발 한 짝’의 신화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신발 한 짝이 이른바 ‘신데렐라형(型)’ 이야기에서 한쪽 신발은 이쪽 세계에 한쪽 신발은 저쪽 세계에 둠으로써 그 주인이 양쪽에 걸쳐진 존재를 표상하며, 우리 불교설화에서는 ‘관음’이라는 상징을 통해 아래로는 중생을 구제하고 위로는 부처의 깨침을 추구하는 중간자적 존재로 드러날 때 신발 한 짝이나 버선 한 짝 같은 식의 상징물이 사용되었다. 둘째, 『삼국유사』에서 신발 한 짝이 나오는 자료를 살폈다. ?탑상(塔像)?편의 <남백월이성노힐부득달달박박(南白月二聖努?夫得??朴朴)>, <낙산이대성관음정취조신(洛山二大聖觀音正趣調信)>, ?의해(義解)? 편의 <이혜동진(二惠同塵)>, ?감통(感通)?편의 <욱면비염불서승(郁面婢念佛西昇)> 등 네 자료에 드러나는데, 이들은 모두 신발 한 짝으로 두 세계에 걸쳐있는 인물, 혹은 이 세계에서 저 세계로 이동하는 인물의 특성을 드러내준다는 공통점을 지니지만 각 작품의 구체적인 양상은 다르다. <남백월이성노힐부득달달박박(南白月二聖努?夫得??朴朴)>은 신발이 옮겨간 방향이 신라에서 중국이 되게 함으로써 신라를 불법 전파의 성지(聖地)로 귀결시킨다. <낙산이대성관음정취조신(洛山二大聖觀音正趣調信)>에서는 신발 한 짝은 진세(塵世)에 둔 채 나머지 신발한 짝을 끌고 정토(淨土)에 좌정(坐定)하는 서사를 통해 관음이 진세(塵世)와 정토(淨土)에 걸쳐있는 존재임을 드러낸다. 또, <이혜동진(二惠同塵)>은 신발 한 짝은 동쪽 언덕에 남긴 채 다른 한 짝은 서방으로 가는 모습을 그려서 화광동진(和光同塵)을 극적으로 구현해낸다. <욱면비염불서승(郁面婢念佛西昇)>은 신발을 떨구고 육신마저 떨어낸 후 완벽한 해탈을 이루는 서사로 귀결되었다. 신발이 한 짝으로만 제 기능을 할 수 없는 것처럼, 나머지 한쪽과의 통합을 갈구하면서 양자 사이의 불균등을 해소하여 위아래 구분 없이 평등한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 이런 이야기들의 핵심 주제이다. 신발 한 짝이 등장하는 설화는 곧 성(聖)과 속(俗), 미각(未覺)과 각(覺), 윤회(輪廻)와 해탈(解脫)의 경계에서 그 둘이 어떻게 중개되며 궁극적으로 하나로 통합되는지 밝혀내는 서사인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meaning of ``a shoe`` of the Samkookyusa with respect of the boundary between the Sacred and Profane. Firstly, I examine the mythological meaning of ``a shoe.`` The shoe like the one in Cinderella story represents its owner`s existence involved in both worlds. In our Buddhism fables, when she saves the world and, at the same time, pursues the enlightenment of Buddha, such shoe has been used as a symbol of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and thus it represents the mediator between ordinary people and Buddha. Secondly, I examined four chapters of the Samkookyusa where such shoe is described: and of the section ``Topsang`` and of the section ``Uihae`` and of the section ``Kamtong.`` The shoe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 person either being involved in both worlds or moving from this world to that world. In the story of , such shoe moves from Silla to China, which makes Silla as a sacred place of propagation of Buddhism. In the story of , the character leaves one of his shoes in secular world but, wearing the other one of his shoes, he walks up to the heaven and settles there, which indicates he is a sort of mediator between the heaven and the world. In addition, describes a story where, leaving one of his shoes in the eastern hill, the character takes the other shoe until he arrives at the heaven, which achieves dramatic realization of integrating the Sacred and Profane. is a story about a woman who reaches complete nirvana by taking off her shoes and even her body. The main theme of these stories is that we should long for the integration and thus return to the world of equality by resolving inequality between one and its counterpart just as a shoe cannot serve its function without the other sho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