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9.22.169
18.219.22.169
close menu
KCI 등재
17세기 동아시아 소설의 여성 서사 비교 - <운영전>,<원원전(圓圓傳)>,<호색일대녀(好色一代女)>의 경우-
A Comparative Study of Woman`s Narrative in East Asian Novels in the 17th century - focusing on Woonyoung-jeon, Yuanyuan-zhuan and Koshoku Ichidai Onna -
정길수 ( Kil Soo Chung )
고전문학연구 43권 129-164(36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2069855

17세기 한국 고전소설 <운영전(雲英傳)>은 ‘자유연애’라는 애정전기(愛情傳奇)의 오랜 테마를 다루되 궁녀(宮女)를 여주인공으로 내세워 ‘자유와 억압’이라는 의미심장한 문제를 제기했다. 17세기 중국의 육차운(陸次雲)이 창작한 <원원전(圓圓傳)>과 일본의 이하라 사이카쿠가 창작한 <호색일대녀(好色一代女)> 역시 여주인공을 내세운 각국의 대표적인 소설이다. 본고에서는 세 작품의 여주인공이 처한 현실과 그들의 원망(願望), 이들 여 주인공을 보는 작가의 시각을 비교 고찰했다. <원원전>은 전통적인 3인칭 시점을 취했다. 작품의 문제의식과 그에 따른 기본 설정이 여주인공의 운명을 여주인공의 시각에서 바라보지 못하게 했기에 <원원전>은 진원원(陳圓圓)의 전(傳)을 표방했지만, 여주인공의 삶과 운명을 섬세하게 조망하는 데에는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반면 <운영전>과 <호색일대녀>의 작가는 1인칭 고백 형식을 택하여 여주인공의 삶을 여주인공의 목소리로 전달했다. <운영전>은 운영의 시선을 따라 그 욕망의 실현과 좌절 과정을 섬세하게 살핀 결과 ‘금지된 사랑’이라는 전통적인 애정 모티프를 ‘가장 자유롭지 못한 존재의 자유’라는 의미심장한 사회적 주제로 탈바꿈시켰다. <호색일대녀> 역시 一代女의 시점에서 남성 편력을 회고하고 반성했기에 그 참회의 대상인 어리석은 욕망이 인간 본능, 인간 숙명의 문제로 확대될 수 있게 했다. 17세기 동아시아 여성 서사는 <운영전>과 <호색일대녀>에 이르러 여주인공을 중장편소설의 서술자로 내세우는 새로운 형식을 시도함으로써 여성의 운명을 여성 자신의 목소리로 말할 수 있게 되었다.

Woonyoung-jeon, a Korean classic novel in the 17th century, dealing with the theme of ‘free love’, raised a significant issue of ‘freedom and oppression’ by assigning the leading role to a court lady. Yuanyuan-zhuan圓圓傳 written by Lu Ciyun陸次雲 and Koshoku Ichidai Onna好色一代女 written by Ihara Saikaku井原西鶴, Chinease and Japanese representative contemporary novels, also layed the heroine in the center of the work. I compared the reality and desire of the heroine of these three works and the vision of three authors. Yuanyuan-zhuan chose the traditional third person point of view. But it failed to grasp the woman`s life and fate delicately in spite of claiming to be a biography of the heroine, because the author could not view the probl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eroine. Woonyoung-jeon and Koshoku Ichidai Onna, on the other hand, told the woman`s life with a voice of the heroine. In case of Woonyoung-jeon, it showed the process of realization and frustration of desi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eroine, and transformed an old motif of ``forbidden love`` to a meaningful social subject of ``the freedom of the being that was far from free``. In case of Koshoku Ichidai Onna, it also looked back and reflected on a woman`s various sexual experiences from a viewpoint of the heroine, by which ``human foolish lust`` could be extended to the subject of ``the fate of human``. Thanks to confessional narrative from the first person point of view of Woonyoung-jeon and Koshoku Ichidai Onna, the woman`s narrative in East Asian novels was able to have a format of telling woman`s life and fate in a woman`s own voi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