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127.141
18.218.127.141
close menu
KCI 등재
조선시대 가장(家長) 지위의 구축과정과 국가 -<조선왕조실록>의 가장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The Construction of the Status of Gajang (家長, the head of a family) and the State in Choson Dynasty: -Focusing on the Articles of the Annals of Choson Dynasty Related to Gajang-
정지영 ( Ji Young Jung )
UCI I410-ECN-0102-2014-800-002067886

이 연구는 『조선왕조실록』의 가장 관련 기사를 분석하여, 조선시대 가장권의 의미가 만들어지는 과정과 조선 국가의 통치 방식의 특징을 알아본 것이다. 조선시대 가장의 지위는 조선시대의 법전의 규정에 명시되어 있다. 그 내용을 보면 노비, 자손, 처첩 등이 가장을 비방, 입증, 고발할 수 없도록 하여 가장의 권위를 인정하는 한편, 가 구성원이 범법행위를 했을 때 가장이 처벌받도록 하여 책임을 부여하는 두 갈래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조선은 ‘가장’을 통해 가 구성원을 통제하는 국가였다. 그런데 가장권과 관련한 규정을 만들고, 그것을 현실에 적용하는 일은 구체적 국면에 따라 새롭게 설정되거나 폐기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원칙적으로 가 구성원에 대한 가장의 권위를 인정하여 ‘강상(綱常:사람이 지켜야 할 기본 도리)’의 질서를 세우고자 했지만, 그것은 한편으로는 백성에 대한 국가의 권한을 포기하는 일이기도 했다. 이에 조선전기에는 ‘노비’ 등 예속인의 처벌에 대한 가장의 권한을 어디까지 보장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게 논의되었다. 한편, 가 구성원의 범법 행위에 대한 가장 처벌을 보면 살인, 역모 등 국가의 근간을 흔드는 범죄에 대해서는 가장의 책임을 엄격히 물었다. 하지만 부녀의 행실을 제한하는 등 각종 금제 위반 및 폐단 등과 관련된 문제에서 가장 처벌이 어느 정도 실현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조선후기에 가장 처벌 조항은 도살, 벌목, 술 주조, 사치 등의 금제에 대한 것으로 추가되었다. 이에 가 구성원에 대한 가장의 책임과 영향력은 일상의 세밀한 영역으로 미치게 되었다. 그 실질적 처벌 여부를 떠나, 가장에게 책임을 지우는 것을 통해 조선후기 국가의 지배력은 가 구성원에게 전달되었다. 가장을 매개로 가 구성원을 통제하는 것은 국가에서 개별 백성을 직접 규제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효과적이지만, 국가가 범법 행위의 당사자를 직접 처벌하는 일을 유보한 것이기도 했다. 가장을 통한 지배는 조선이라는 국가의 한 특징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the meaning of gajang`s authority was constructed through a content analysis of the articles of the Annals of Choson Dynasty related to gajang. The status of gajang in Choson is defined in the law books of the Choson period such as Gyeonggukdaejeon. The legal codes, on the one hand, secured the authority of gajang by precluding his servants, descendants, wife, and concubines from slandering, proving his guilt, or accusing him. On the other hand, the law gave the gajang responsibility over his ga by punishing the gajang if a member of his ga broke a law. Choson exercised the state control over its people through gajang. However, the practice of such control was not the same throughout the Choson period.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 situations of the time, new regulations related to gajang`s authority were established while some old ones were discarded. The state intended to establish the order of gangsang (綱常, the fundamental duties people shall follow) through solidifying gajang`s authority over the members of his ga. This, however, could also mean that the state relinquished authority over its people. Therefore, in the early Choson period, the issue related to the proper level of gajang`s authority over the punishment of his subordinates such as his servants was seriously discussed. During this time, although the gajang was actually punished in the cases in which a member of his ga committed serious crimes such as a murder or treason, there were not many cases the gajang was punished for the violations of social prohibitions - such as women`s misbehavior - of the members of his ga. In the late Choson period, it was discussed to insert an additional clause to make the gajang responsible for his subordinates` everyday violations of social prohibition such as illegal butchery, logging, brewing alcoholic beverages, and extravagance. In fact, there are cases of such punishments. Gajang`s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over the members of his ga was gradually extended to reach every nook and corner of everyday life. The governing power of the state in the late Choson period reached the people through holding gajang responsible for the members of the ga. While controlling its people using gajang as a medium, the state shifted to gajang its responsibility to directly punish those who broke a law. This governing through gajang shows a characteristic of the state of Chos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