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19.199
3.145.119.199
close menu
KCI 등재
포스트예술 시대의 미학과 비평 -예술행동과 일상의 문화정치를 중심으로-
Aesthetics and Criticism In the Period of Post-Art -Focus on the Direct-Action Arts and Aesthetic Activism-
김주현 ( Joo Hyoun Kim )
시대와 철학 24권 2호 117-154(38pages)
UCI I410-ECN-0102-2014-100-001521606

본 논문은 포스트예술의 정치성을 거점 예술행동과 플래시 몹 등의 행동주의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이를 위해 예술의 종말 이후 ‘포스트예술’ 개념을 탐구한다. 예술 현장에서는 다중들이 참여하는 혁신적 작업들이 쏟아져 나오지만 정작 미학과 비평에서는 ‘개념 전환’ 선언 외에 진전된 탐구를 찾기 어렵다. 포스트예술 시대의 미학의 미비는 명분상 모더니즘을 다원주의의 ‘한’ 항목으로 존속시켰고, 포스트예술의 대안 미학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결과적으로 모더니즘은 지배 미학으로 남아있다. 2, 3장에서는 서양과 한국의 이론과 실천에서 ‘포스트예술’이 보수화되는 과정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4장에서는 1980년대 서양의 행동주의 미술 비평의 원칙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한국의 동시대 거점 예술행동에 적용한다. 포스트예술 시대 행동주의 예술에 대한 메타비평은 미적 액티비즘과 일상의 문화정치를 공정하게 고려할 미학의 전환을 모색한다. 포스트예술 시대의 다원주의는 계층, 인종, 성별, 환경, 등 다양한 위치중 어떤 하나를 일반적으로 우세한 요소로 간주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예술과 정치를 분리하지도, 각 부문 영역의 모순을 저절로 말소하거나 무화시키지 않는다. 사회의 다원적 맥락과 관점은 예술의 의제이며, 이는 다중의 미시적이고 복합적인 직접 행동을 통해서만 해결 가능하다. 포스트예술의 미학은 비판적 다원주의로, 익명의 즉흥적 산발과 통섭, 그리고 모순의 중재와 탈주를 긍정적 미적 가치로 제안한다.

This essay discusses the politics of post-art mainly in the perspective of ``aesthetic activism`` of such as direct-action arts and flash mob. I research the concept of post-art after ``end of art`` above all. There are many innovational works including numeral participants in the artistic practice while it is so hard to find advanced research except ``conceptual turn`` proclamation in aesthetics and criticism. A lack or shortcoming of aesthetics in the post-art era ostensibly maintains modernism as ``a`` part of pluralism, therefore modernism consequently retains its position of dominating aesthetics as an alternative of post-art does not appear. In the chapter 2 and 3, I critically analyze the appearance of ``post-art`` and the regression of conservative swing, and the course of theory and practise in the West and Korea. In the chapter 4, I analyze Korean direct art action in 2000s and I am going to critically review the principles of criticism of 1980s` western activist art, suggesting the theory of evaluation for aesthetic activism. Post-art requests the list of aesthetic values distinct from modernism, such as new media technology, multiple daily aesthetic activism, consilience of genre, ontological reiteration and division, quotation and emergent property. Moreover, ethics and politics are inner factors of aesthetics and criticism of post-art, even though pluralism of post-art era does not designate any dominant factor among various locations like class, race, gender, environment, etc. I hope this would be a chance to estimate the conversion of post-art aesthetics and criticism by taking a look at the complex aspects of multiple activist art in the perspective of critical pluralis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