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254.94
18.118.254.94
close menu
KCI 후보
문학체험의 자기화를 위한 문화 혼융의 글쓰기
Writing Education by Producing Cultural Hybrid Text
정재찬 ( Jae Chan Jeong )
작문연구 10권 43-79(37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1502906

창작이라 부르든, 창의적 글쓰기라 부르든, 그것은 문학과 작문 모두로부터 환영받지 못한다. 그것을 실현할 기술적 가능성과 교육의 전문성을 문제 삼기도 하지만, 그것은 수준의 문제일 뿐, 본질의 문제는 아닌데도 말이다. 즐겁고 어렵지 않은 창작적 글쓰기, 창작과 작문 사이쯤의 수행은 없을까? 문학을 대상으로 인문이면서 예술이고, 이해이면서 표현이고, 아카데믹하면서도 개성적인 글쓰기를 학생들에게 기대할 수는 없을까? 이 문제는 결국 작문 및 문학교육의 장에서 어떻게 학생들로 하여금 그들 스스로 문학(인문, 문화, 예술)에 관한 힘, 곧 텍스트 능력(textualpower) 및 문화적 능력(cultural literacy)을 지닐 수 있도록 힘을 부여(empowerment)하여 학생들의 자기화된 목소리를 복원하게 해 주는가 하는 문제로 요약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문학을 비롯한 다양한 매체의 텍스트를 활용하여, 학생 개인이 자신의 독자적인 상호텍스트성을 발견, 생산해 내도록 도모하는 교육적 실천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강의용 텍스트를 제작하고 실제 강의를 준비하면서 필자는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위계와 경계를 넘어서고, 특별히 인터넷의 하이퍼텍스트를 포함한 문학적 문화적 상호텍스트성의 힘을 극대화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그리고 교사의 시범이후, 자신만의 텍스트와 콘텍스트들로 이루어진, 새로운 하이브리드 텍스트를 만들어보라고 학생들에게 요구하고 격려했다. 유사성과 차이를 발견하고 새로운 유의미한 것을 융합하는 것은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행위를 수반한다. 그러면서도 문화 공동체, 해석 공동체의 공감도 획득할 수 있게 되어 탈영토화가 가능해진다. 이 강의는 학생들에게 문학에 관한 흥미와 자신감을 불러일으키는 데 성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 이 논문에서 인용된 어느 학생의 리포트 또한 주목할 가치가 있다. 상호텍스트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는 계속 진화하며 새로운 종을 내어놓는다. 그 중에서 가치 있는 결과물과 체험을 교육적으로 축적하고 공유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The society of literary education has recently moved its direction from the canon and the teacher centered orientation to the text and the learner centered orientation. This reorientation would lead our students to have their own subjectivities and originalities. But, how come? I suggest the way to teach by intensifying the intertextuality of the texts, not only literary ones, but also various non-literary cultural ones. Actually, I produce the text for my lecture by the intertextualities between poetry and other artistic, cultural texts. I try to go beyond and traverse the border between them, and concentrate to find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then make my own text composed by various texts. I often use the internet which is a very powerful tool to search the intertextualities, because the hypertextuality of internet could bring me some ideas I had never dreamed of. In the classroom, I show my own text on the screen and link other texts including paintings, musics, photos, and mass media, etc. My students enjoy them very much, because before my presentation they never thought there would be any relationship among the texts. At the end of the semester, I ask them to hand in their essay with uniqueness and creativity focusing the intertextuality among the texts they had read or experienced. Many of them succeed. Finally, I propose that we acknowledge that most of students are amateurs in terms of lovers, not professionals. The classroom with intertextuality gives us a pleasure to find, create, share and communicate each others` interpretations and subjectivit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