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117.109
18.222.117.109
close menu
KCI 후보
한국 초중등 학생의 서사 표현력 발달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Expressive Ability of Korean Elementary & Middle School Students
임경순 ( Kyung Soon Lim )
작문연구 10권 227-271(45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1502966

이 연구는 전국적인 분포를 고려하여 대, 중, 소도시(읍면) 지역을 고루 선정하였으며, 학교는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초등학교는 총 1,754명이고, 남자는 809명(46.1%), 여자는 945명(53.9%)이다. 중학교는 총 700명이고, 남자 295명, 여자 405명이다. 이야기 내용은 공상적, 허구적인 내용에서 현실적이고 개인적인 내용 성향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환상, 공상, 모험 등의 내용에서 사랑, 자기성장 등 자기 문제와 관련된 내용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보인다. 내용의 통일성, 독창성, 이야기의 구조 등은 5학년까지 높아지다가 6학년 이후 낮아진다. 여자가 남자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칭 주인공 ‘나’, 핵심 주요 사건 구성, 사건의 연결성, 사건의 복잡성, 초점화의 일관성, 역행법, 평균 단어수, 평균 문장수, 평균 복문수 등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대체로 높아지거나 증가한다. 그러므로 이들 지표들이 증가한다는 것은 이야기 표현 능력이 발달한다는 지표로 삼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평균 단어수, 평균 문장수, 평균 복문수 등은 일관되게 발달한다. 여자는 사건의 연결과 일관성, 어휘 등에서 남자보다 발달되어 있고, 남자는 이야기 복합성, 구조 등에서 점차 여자보다 우세하게 발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야기가 독자에게 주는 감동의 정도와 이야기에 대한 총평 점수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대체로 많아지거나 높아지지만, 전체적으로는 낮게 나타나며, 여자가 남자보다 높다. 이상에서 내용, 담론, 소통 차원에서 볼 때 한국 초·중학생들의 서사표현 발달의 특징, 학년별, 성별 차이는 매우 다양하고, 다층적임을 알 수 있다. 한국 초·중학교 학생들이 뚜렷하게 단계를 보이면서 발달하기 보다는 이야기 구성 요소에 따라 퇴보와 발달이 점진적으로 진행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총체적인 차원에서 보면 이야기 표현 능력이 발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thesis is study to draw out features of narrative(story) expressive ability development of Korean elementary & middle school students. 1754 stories(elementary school students) & 700 stories(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with story contents, discourse, and communic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development features of content level. Elementary students wrote much fantastic sto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rote much realistic story. Coherence of contents are a little well. Elementary students are high coherence of contents. But it becomes low after 6 school year. 2) The development features of discourse level Korean elementary & middle school students wrote story with first, middle, end of story generally. Event connection is a little good. Homo-diegesis stories are much more than hetero-diegesis stories. Significant age difference was observed in elementary & middle school student`s narrative discourse. Middle school students less produced stories with first, middle, end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3) The development features of communication level Evaluative grade is mid scor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it is below mid score in middle school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less produced stories with aesthetic emotion than elementary school ones. The analysis suggests that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 retrogression and development gradually happening in several elements instead of advancement as a whole with distinctive stag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