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69.152
18.222.69.152
close menu
KCI 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작문 교육을 위한 학습자 텍스트 구조 분석 연구 -논증형 텍스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analyzing textual structure of Korean learners for Korean compositio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안정호 ( Jung Ho Ahn )
작문연구 15권 101-126(26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1503352

본고에서는 중급 학습자들의 논증형 작문 텍스트를 분석하여 현재 한국어 학습자들의 작문 능력의 현황을 알아보고 한국어 교육에서의 작문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최근 적극적인 외국인 유학생 유치정책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대학 수학을 성공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한 쓰기 교육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으나 작문교육에 대한 연구나 교수법 개발은 다른 영역에 비해서 미비한 상황이다. 또 현장에서도 수업과 평가가 일관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숙달도 기준 중급에 해당하는 3급 학습자들이 논 증형 주제인 ‘텔레비전의 장점과 단점, 바람직한 텔레비전 시청 방법’라는 주제로 쓴 텍스트를 툴민(St. Toulmin)의 논증형 주제 전개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형식적 문단 구성 능력을 살펴보았는데 전체 학습자 중에서 34%에 해당하는 17명의 학습자가 문단에 대한 개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 학습자들은 모두 자국에서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유학을 왔지만 약 34% 정도의 학생들은 문단 나누기의 개념조차 정립되어 있지 않았다. 다음으로 논증적 주제 전개 능력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논증형 주제 전개 모형에서 필수적으로 드러나야 하는 결론(테제), 논거, 추론규칙이 모두 드러나 있는 글이 전체 50편 중에서 7편으로 나타났으며 추론규칙만 결여되어 있는 글이 9편, 결론이 결여되어 있는 글이 12편 결론을 포함하여 추론규칙까지 결여되어 있는 글이 11편,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없어서 논증형 주제 전개 모형으로 분석이 불가능한 글이 11편으로 나타났다. 대학 수학을 목적으로 공부하는 학습자들 중 필수 요소를 갖추어 작문을 한 학습자들이 전체의 약 14%에 불과했다. 현실적으로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가 늘어나면서 한국어 교육에서 작문 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대학 수학을 위한 기본적인 작문 능력을 갖추지 못한 학습자들이 많다. 그러한 학습자들이 대학교에 입학한 후에 성공적으로 학업을 지속해 나가기 위해서는 한국어 작문 능력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들의 작문 능력 배양을 위한 현장에서의 노력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텍스트 유형에 따른 이상적인 주제 전개 방법 및 필수 요소의 구성 모형이 나온다면 조금 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작문평가 전문성은 현실적인 요구가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이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는 충분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국어교사의 작문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을 주요 주제로 논의하였다.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작문평가의 문제적 국면을 국어교사 양성의 국면, 작문평가 실행의 국면, 작문 평가의 경험적 국면으로 설정하여 다루고, 이를 토대로 하여 국어교사 평가전문성의 신장 방안 두 가지를 검토하였다. 하나는 국어교사의 개별적 특성에 기반을 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평가 도구 및 평가 환경 개선에 기반을 둔 것이다. 전자에 속하는 방안으로는 채점의 엄격성 유지 훈련, 작문평가 효능감의 신장, 평가 과정 점검 질문의 개발 및 적용, 평가 경험의 확대를 제안하였으며, 후자에 속하는 방안으로는 평가 기준의 상세화 및 평가 척도의 적정화, 평가 예시문의 선정 및 활용, 국어교사 협의회의 운영, 작문평가 반성 전략의 활동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방법들은 국어교사의 작문평가 전문성을 기르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argumentative essays of intermediate-level Korean learners to find out the current writing competence of Korean learners and to discuss the approach composition education should take in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recent years, due to the increase of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the importance of composition education to successfully fulfill college-level requirements has become greater than before. However, the field of composition education still lacks relevant studies and proper teaching methods compared to the other fields of education in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given a writing task requiring them to write an argumentative composition on ‘pros and cons of television and desirable ways to watch television``. Then, the compositions were analyzed based on the model for argumentative theme development developed by Toulmin. First, the paper examined learners` ability in organizing paragraphs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approximately 34 percent of students failed to understand paragraph structures in essay writing. Although the participants had all completed high school-level education in their home countries, 34 percent of the learners did not have an understanding of paragraph structures. Next, the study investigated learners` ability to develop an argument in argumentative writing employing the three components of argumentative writing; conclusion, grounds for an argument, and rule of inference.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7 out of 50 essays had all three components. 9 essays were missing rules of inference, 12 essays did not have a conclusion, 11 essays lacked both a conclusion and rules of inference, and 11 essays were not possible to analyze using the model. Only 14 percent of the participants had the ability to write an essay making use of all three components of argumentative writing. With the increase of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the importance of composition education has grown. Yet, the results clearly suggest the need for approaches in composition instruc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to foster academic learners with the academic-level writing proficiency.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a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 will be developed by applying the way for theme development of different text types to Korean composition educ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