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9.22.135
3.129.22.135
close menu
KCI 등재
작문교육 개념어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Analysis of Teacher Recognition that Writing Education Conceptual Terms
이영진 ( Young Jin Lee )
작문연구 16권 107-141(35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1503438

이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의 작문 과목 교수를 위해 기초가 되는 작문교육 관련 주요 용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작문교육 개념어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지역, 성별, 학교급, 교육경력 등을 고려한 국어교사를 표집하였다. 최종적으로 표집된 84명을 대상으로, 검사 도구로는 7차, 2007년, 2009년 작문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검토하여 공통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주요 개념어들을 추출하여 검사 문항으로 개발하였다. 지역, 성별, 근무 학교급, 교육경력, 작문 교수 효능감을 독립 변인으로 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기술 통계 및 독립 표본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독립변인과 관련한 집단별로 교사들의 인식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작문교육 개념어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결과를 면밀히 검토한 결과, 대체로 교사들은 작문교육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요한 개념어의 의미를 인식하고 있는 편이었다. 그러나 일부 개념어들에 대해서는 작문교육 내용에서의 체계상 성격을 혼동하여 다른 용어들로 응답하는 사례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통일성’, ‘응집성’, ‘일관성’과 같은 개념어들은 선행연구들을 통해서도 확인했듯이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진술 내용이 다소 혼란을 겪고 있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고 이는 교사들의 인식 조사 결과에서도 드러났다. 특히 작문 평가와 관련한 교사들의 응답 사례를 살펴보면 교사들이 작문 평가와 관련한 주요 개념어들 즉, 간접 및 직접 평가, 총체적 평가, 분석적 평가, 그리고 작문 평가의 타당 도와 같은 용어들에 대해서는 개념상의 혼란을 겪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작문교육 개념어에 대해 성별, 학교급별, 교육 경력별, 교수 효능감을 변인을 하여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서는 여교사가 남교사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높은 성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학교급과 교육 경력 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교수 효능감과 관련하여 효능감이 높다고 판단한 교사 집단과 낮다고 판단한 교사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대체로 작문교육 개념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과 교수 효능감을 갖추고 있는 교사들이 설문 조사의 결과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로 나타났음을 분석 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teachers` perception of key terms related to writing instruction. To this study, 84 Samples was considered variances as region, gender, school level, career education teachers. and Inspection tools were developed test items that extract to main conceptual terms by reviewing the 7th, 2007, 2009 Nationtional Writing Curriculum. After this test, I carried out statistical methods. I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s independent variables that region, gender, school level, career education and teaching efficacy of writing. Mostly teachers were recognized the Writing education conceptual Terms. However, they confused some terms such as ``unity``, ``coherent``, ``consistency``. In particular, teachers`` responses associated with writing assessment was varied. they confused on the concept of indirect and direct assessment, holistic assessment, analytical evaluation, and the validity of writing assessment. As a result, gender variance wa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teachers and female teachers. However, school level and career education variance were not statistically. Teaching efficacy variance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 group and low group. but high level teaching efficacy group commonly appeared to positive result at recognition research.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