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15.195
3.145.115.195
close menu
KCI 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첨삭지도의 실제적 효용 연구 -수정 전후 글의 변화 양상 및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Practical Efficacy of Proofreading Coaching in University Writing Training - Focused on the changes in level of students` writings and the key factors of the changes-
박상민 ( Sang Min Park ) , 최선경 ( Seon Kyung Choi )
작문연구 16권 171-197(27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1503458

이 논문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첨삭지도의 실제적 효용을 연구하는 것이다. 글쓰기 교육 과정에서 수정하기는 매우 중요한 학습 과정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수정하기 과정이 단순히 글의 오류를 바로잡는 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글을 객관화시켜 바라보며 사유를 확장하는 발견과 재창조의 과정이기 때문이다. 대학 글쓰기 교육현장에서 수정하기는 주로 첨삭지도를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첨삭지도 효과에 대한 연구가 갖는 교육공학적 가치는 지대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작문연구에서 첨삭지도의 실제적 효용에 대한 연구는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첨삭지도 이후에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이 어느 정도 신장되었는지에 대한 계량적 연구는 찾기 어렵다. 이상과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특정한 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글을 수정 전과 후로 나누어 평가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학생들의 글을 상, 중, 하 수준으로 나누고, 10명의 평가자에게 동일한 평가 기준표에 따라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지표를 10가지 항목으로 세분화했으며, 1년 동안 십여 차례에 걸친 워크숍을 통해 평가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높일 수 있도록 만전을 기했다. 평가한 모든 글들의 평균 점수는 65.83점(100점 만점)에서 73.33점으로 7.2점이 향상하였으며 상, 중, 하 수준별 수정 후의 점수 상승폭이 5.7점, 6.4점, 9.8점으로 나타났다. 즉 ‘하→중→상’의 순서로 점수 상승폭이 컸다. 이는 글쓰기가 미숙한 학생들에게 첨삭지도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남을 알려주는 것으로 첨삭지도를 통해 하 수준의 글을 중 수준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 수준의 글에서 특히 구성 항목과 ‘주제의 적절성 및 명확성’ 항목에서 큰 상승폭을 보이고 있는 점은 글쓰기가 미숙한 필자들에 대한 첨삭지도의 기준과 방향을 제시해준다. 세부 항목별 평가에서도 학생들의 점수는 각 항목에서 고르게 상승하였다. 하지만 내용, 구성, 표현의 세 측면 중에서 구성 부분의 상승이 가장 두드러졌고, 표현 부분의 상승은 상대적으로 작았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첨삭지도를 통해 가장 크게 도움 받는 부분은 ``구성``임을 알 수 있었고, 문장 수정에 대한 도움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부분은 학생 수준별로도 조금씩 차이를 보이므로, 교수자는 학습자들의 특징을 파악하여 수업 설계 시에 선택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is to study on practical efficacy of proofreading coaching in university writing training. In writing training, revision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ages of training. It is not just because revision is a process to revise the mistakes in the writing but also because it is a process of discovering and recreating one`s thinking by objectifying his/her own writing. In the field of university writing training, revision is made mainly in the form of proofreading coaching. Thus, studying on the efficacy of proofreading coaching has significant meanings on educational technology. However, not many studies have been made on practical efficacy of proofreading coaching to this day. Especially, it is very hard to find any quantitative study on how much improvement of writing ability was made after the proofreading coaching. This thesi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s before and after revision on students` writing for a specific subject.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high, middle and low, based on their writing abilities. Ten instructors assessed the same writings with the same grading criteria, which are specified into ten components. Each component was evaluated through intensive workshops over one year to establish fairness and objectivity. The average score of the assessed writings went up by 7.2 point from 65.83 to 73.33 out of 100. High, middle and low group went up by 5.7, 6.4 and 9.8 points respectively, showing the most improvement from the low group, followed by middle group and then the high group. This result implies that students with low writing ability can develop their writings more effectively with proper proofreading coaching, which can progress their low level writings into middle level writings. The low group especially shows high improvements on writing composition and thematic properness/clearness, which suggest the standard and direction of proofreading coaching for students with low writing level. The result shows overall development on all components of grading criteria. However, when analyzing in the aspects of contents, composition and expression, students show higher development in composition while having relatively lower progress on expression. This suggests that students can have the most benefit of proofreading coaching in terms of composition while having relatively lower advantage on sentence editing.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result between students with different level of writing ability, so the instructor shoul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nd use this study`s result selectively when designing a proofreading coaching.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