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2.172
3.133.12.172
close menu
KCI 등재
학생 글에 대한 교사의 반응 분석 -"꿀맛닷컴 중학사이버논술"의 첨삭 자료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the teacher response to student writing
김경화 ( Kyoung Hwa Kim )
작문연구 17권 101-153(53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1503529

쓰기 교육에서 교사들이 학생의 글에 무슨 내용의 반응을 하는가를 분석한 연구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학생의 글에 어떤 내용의 반응을 하는가? 둘째, 학생 글에 교사가 반응을 할 때, 어떤 내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가? 셋째, 학생 글에 대한 교사의 반응은 쓰기 교육에서 어떠한 의의가 있는가?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교육청 사이버 가정학습 사이트 <꿀맛닷컴>에서 2009년과 2010년에 운영되었던 자료들 중에서 기준을 적용하여 연구 대상을 선정하였다. 먼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 논술방>에서 자료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적어도 일곱 명 이상의 학생의 글에 첨삭한 자료가 있는 교사를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장 최근에 올린 자료 순서대로 다섯 편을 선정하였다. 이에 해당되는 교사는 일곱 명이었으며, 첨삭이 이루어진 글은 전체 35편이었다. 학생 글에 대한 교사의 반응 분석에는 Straub과 Lunsford(1995)의 연구에서 사용된 준거를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적인 구조’와 ‘미시적인 구조’에 해당되는 반응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교사들은 글의 형식 및 표현과 관련된 내용의 반응을 주로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글의 내용을 구체화시키거나 주제를 심화시키는 ‘의견’과 ‘내용 상세화’에 대한 반응은 약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의견’에 대한 반응이 제시된 경우라도 내용 확인의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마지막으로 ‘글 이상’에 대한 반응도 매우 적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학생 글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 내용 전체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많다. 그러나 학생 글에 대한 교사 반응 연구가 쓰기 교육의 실제 장면에서 교사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먼저, 학생 글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 연구를 통하여 교사들이 실제로 학생들에게 무슨 내용의 반응을 하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교사 스스로 자신의 반응 내용을 점검하고, 이를 통하여 쓰기 교육 내용이나 지도 방법 등을 구체화시킬 수 있어 교사의 교수·학습 전문성을 높일 수 있다. 학생의 실제적인 글쓰기와 쓰기 성취 향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쓰기 교육에서, 학생 글에 대한 교사 반응은 쓰기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영역에서 의미 있는 역할로 자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미약한 수준에서 교사 반응 내용을 확인하고 분석하였지만,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정교하고 의미 있는 연구가 이어지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eacher respond to the student writing. There are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do teachers respond on student writing? Second, when the teachers give feedback to student writing, what they think are the important things in student writing? Third, do teachers respond to student writing have importance of writing education? The data were the teacher responses on the middle school student essay writings. The essay data written by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ollected essay writing board at kkulmat.com, website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the year 2009 and 2010. And I collected the teacher who was responded more than seven essay writings. So, this study examined seven teachers and their responses on the student essay writings. This analysis is based on a previous study by Straub and Lunsford(1995). It was found that most teachers response focus on the ‘Global Structure`` and the ``Local Structure``. This result is meaned that most of teachers response focus more on form than on content. However, the many teacher responses on the student writing did not focus on the ‘Idea``, the ``Development``, and the ``Extra-textual``. Moreover, it is just a reconfirmation of what is main idea, although they comments on ``Idea``. Also, they hardly respond to ``Extra-textual``.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annot be generalized to the writing education. Nonetheless the study of teacher response to student writing is helpful to the writing education. First, the analysis reveals what teachers focus on while responding to student writing. Second, teachers can clarify their feedback skills and improve their expertise in education. So, the teacher`s educational professionalism can be development. At this point, many teachers and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student`s writing achievement, the response to student writing can be a significant part of instruction and evaluation of writing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 of response on the student writing limitedly, but follow-up studies will be more than elaborate and meaningful stud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