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26.241
18.118.126.241
close menu
KCI 등재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 학습자를 위한 학술논문 각주 분석 ­텍스트 기능과 기능별 언어표현을 중심으로-
Analysis of Footnotes in Academic theses for KAP Learners -Focusing on text functions and its corresponding expressions-
박나리 ( Na Ree Park )
작문연구 17권 227-269(43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1503554

본 연구는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각주 쓰기 교육방안의 기반연구로서 한국어 모어화자의 학술논문 각주에 나타나는 텍스트 기능을 유형화하고 그 기능에 따른 언어표현을 보이고자 하였다. 이는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학술논문 각주에서 문식성의 오류를 심각하게 보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각주 자체가 본격적으로 논의된 연구가 없었던 까닭에, 각주에 대한 구체적인 교수학습방안 마련을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자체도 마련되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학술논문의 각주는 목표하는 대상(object)에 따라 크게 텍스트에 대한 메타적 언급, 본문 텍스트 내용의 보충, 다른 텍스트의 제시와 언급이라는 기능으로 구분되었다. 텍스트에 대한 메타적 언급의 경우는 다시 대상이 포괄하는 영향권(scope)에 따라 전체 텍스트를 대상으로 하는 메타발화(텍스트 소개, 감사 표현, 텍스트 생산목적 재언급, 연구범위 한정 언급, 주요용어의 의미역 조정 언급, 텍스트 수용자의 비판 선취(先取), 연구한계 인정과 후속 연구 언급), 텍스트의 구성 및 형식을 언급하는 발화(텍스트 구성 언급, 약호나 표시에 대한 설명) 그리고 텍스트 수용자의 이해 맥락 조절과 관련된 메타발화로 다시 하위유형화 되었다. 한편 본문의 텍스트 내용을 보충하는 기능은 각론적인 용어의 개념상술, 각론적인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에 대한 상술, 다양한 예(例)의 나열, 사변적이거나 개인적인 내용 언급의 기능으로 다시 분류될 수 있었으며, 다른 텍스트의 제시와 언급의 경우에는 인용출처 단순 제시, 인용표지를 사용한 간접인용, 현(現) 텍스트 생산자의 기술 안으로의 융합(amalgam)이 직접인용에 비해 우세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각주의 다양한 기능과 언어표현이 기능별로 학문목적 학습자에게 다변화되어 제시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술논문 각주가 학술논문의 의사소통상황의 전반에 걸쳐 기능을 발휘하는 만큼, 학술논문의 내외적 의사소통상황에 대한 자동화된 인식의 훈련이 학습자들에게 필요하다고 보았다. 의사소통상황에 따라 각주를 다르게 변주할 수 있는 유연한 담화화용능력의 훈련도 요구된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henomenon of para-text ``footnote`` in academic theses and to categorize it according to its text functions. In the previous investigations, footnote has been underestimated as only para-text to the main text so its functions have not been researched specifically. However, footnote is one of the prominent text genre-based features of academic thesis and serious footnote errors made by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KAP) in their theses requires us to develop educational treatment of footnotes writing for KAP learners. As a fundamental study for the educational methods for footnotes writing, this study looks through and analyze 30 theses by Korean mother tongue writers in Korean Education academic areas. The conclusion is as followings. Text functions of footnote utterances in academic theses are largely divided into meta utterance as to its text structure and making-up utterance for its main text. The former is categorized as the whole text-scoped utterances(utterance of text introduction, gratitude utterance, re-utterance of text purpose, utterance of its research scope, terminological utterance), utterances as to its text structure(text deixis utterance, indication utterance) and text-receiver oriented utterance(text producer`s self-defence, preoccupation of text receiver`s criticism, in-advanced admittance of criticism, control of text receiver`s understanding context). The latter is dealing with mentioning source of the previous studies, explanation of numbers in the main text, explanation research methods and object, enumeration of many examples, description of writer`s highly individual opinion, specification of term. Whereas words and expressions according to each functions in footnote utterances are highly typical, its patterned items are to suggest in the textbook along with its function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