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73.112
3.145.173.112
close menu
초등학교 글쓰기 수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roblems with Writing Class at Elementary Schools and its Reform Measures
임성규 ( Seong Gyu Lim )
작문연구 3권 9-44(36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1503701

이 글은 초등학교 글쓰기 수업의 양상을 살펴 문제를 찾고 그 해결 방법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초등학교에서 글쓰기 교육은 ‘교과 수업의 쓰기’ 시간에 이루어지는 경우와 ‘비교과 수업의 쓰기’ 시간에 이루어지는 경우로 구분되는데 이 두 상황에서 글쓰기를 지도하는 방법은 확연하게 구분된다. 쓰기 교과 수업 시간의 글쓰기 지도는 ‘일반 수업, 계획된 연구 수업’이 있는데, 주로 쓰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과정 중심 모형에 따라 이뤄진다. 과정 중심의 쓰기 교육은 ‘내용 생성 → 내용 조직 → 글쓰기 → 다듬기’라는 일련의 과정으로 글쓰기를 가르치는데 두 가지 논의점이 나타난다. 첫째, 과정 적용의 문제로, 쓰기 과정을 적용할 때 한 시간에 전 과정을 고정하여 놓고 학년, 장르, 수업 목표에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똑 같이 수업을 하는 점이다. 둘째는 전략 적용의 문제로, 쓰기의 어느 과정에 최적의 전략 고정하여 교육하려고 하며 그 전략도 사고 과정에 편중해 있다는 점이다. 비교과 수업의 쓰기는 ‘재량 활동 수업, 특기 적성 방과 후 학교 수업, 특별 활동 수업, 홈페이지를 통한 글쓰기 지도’ 등이 있는데 주로 교사개인이나 교과교육연구회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활용한다. 여기에는 ‘생활 소재를 강조하는 활동형 프로그램, 기능이나 전략을 강조하는 전략형 프로그램, 주제 통합을 강조하는 범교과형 프로그램, 다양한 글쓰기를 강조하는 문종형 프로그램’ 등이 있다. 이 프로그램들을 활용할 때 다음 세 가지의 논의점이 나타난다. 첫째는 이해력과 사고력 신장에 대한 내용이 부족하다는 점이고, 둘째는 글을 쓰는 목적과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이며, 셋째는 주제 통합에서 배경 지식을 확대할 방법이 구체적이지 못하다는 점이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take a look at the aspects of wring class at elementary schools, to find out its problems and to grope for reform measures. Writing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s are divided into the sessions of subject-based writing and those of other writing;one is cleary different from the other in terms of the teacher`s instructions. The writing instructions of subject sessions involve `general class` and ``planned research class``, which are based on process-based models with their focus on writing textbooks. The process-based models are made up of the following procedures:content creation → content organization → writing → polishing. They have problems with the fixation of the process, the sequence of process application, and the maximum suitability and lop-sidedness of strategics. On the other hand, the non-subject composition activities include discretionary-activity class, after-school sessions aimed at improving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special-activity class and the instructions of how to write on homepages, etc. The researcher make the most use of programs emphasizing daily-routine material, function or strategics, subject integration, and genre, etc. developed by individual teachers or subject-education research committees. The problems are characterized by the insufficiency of contents stressing the betterment of understanding and contemplative faculty, failures to present information on writing purposes and situation and the obscurity of means to expand background knowledge in case of subject-matter integr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