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0.185.147
3.140.185.147
close menu
국어교사의 쓰기 교수 전문성 준거 설정 기초 연구 -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A Basic Study of Establishing Standards for Teacher`s Writing Proficiency -In a Secondary Education-
김선정 ( Eon Jeong Kim )
작문연구 3권 139-166(28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1503741

본고의 목적은 국어교사의 쓰기 교수 전문성 준거설정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를 하는데 있다. 기존의 교육학 일반의 이러한 준거 틀의 특성은 대단히 일반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어서 효율성면에서는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렇다면 교사의 교수활동을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맥락에서 교수활동의 내용에 근거해서 구체적인 교수 수행영역 및 요소가 개념화되어야 한다. 먼저 문헌들을 통해서 준거틀 마련을 위한 기초조사를 하고자 했다. 그 결과 구체적인 평가영역 및 요소를 설정하는 일이 매우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문헌검토에서는 본격적으로 선행연구 검토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먼저 국어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대표적인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이상의 문헌들을 바탕으로 준거요소 설정을 위해서 종합하는 작업을 실행했다. 준거 구성요소를 지식, 수행, 태도로 결정하고 종합하는 과정을 거쳐서 공통된 영역을 추출하였다. 8개의 공통영역을 설정한 다음에는 이에 따른 28개의 준거요소를 동시에 추출하였다. 여기에 쓰기요인을 보완하는 소범주를 첨가하였다. 그러나 이 작업은 현장에 대한 조사연구로 좀 더 본격화할 필요성이 충분히 있다고 판단되므로 차후의 연구로 미룬다.

This study aims on a basic study of establishing standards for teacher`s writing proficiency. It``s inefficient as existent standards for education general is very simple. For evaluation of teaching proficiency concrete teaching performance sphere and element on the concrete context should be conceptionized. First, I examine literature for establishing standards. So I try to establishing concrete teaching performance sphere and element. And I carried out to integrate preceding research. Continually I integrate literature on the standards elements consisting of Knowledge, Performance, Attitude. I established eight sphere and extracted 28 standards elements. At the last I add small category for supplementing. But I carry over another study because I think we need a field surve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