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60.156
3.133.160.156
close menu
잡지 청춘(靑春) 독자투고란의 어문교육사적 연구
A Historical Study on the Readers` writing of the Magazine, <靑春(Chung-Choon)>
황혜진 ( Hyejin Hwang )
작문연구 4권 145-172(28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1503827

이 연구에서는 청춘의 ‘독자투고란’을 대상으로 독자투고가 홍보된기사, 독자투고로 실린 ‘보통문’과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입선작의 내용과 특징, 심사자의 평가를 살펴보았다. 청춘 은 산문 영역에서 ‘고향의 사정을 녹송하는 문’, ‘자기의 근황을 보지하는 문’, ‘단편소설’ 등 세 종류의 글을 모집하였다. 앞의 두 종류는 소년 에서도 모집되었으나 단편소설은 잡지 최초로 투고 대상이 된 문종이다. ‘보통문’과 ‘문예문’으로 분류된 산문에서 지역을 주제로 하는 글이 ‘보통문’의 대표적 종류로 선별된 것과 자기를 글감으로 삼고 있는 글이 서간체라는 문체적 경향성을 갖는다는 것이 특기할 만한 사항이다. 단편소설의 경우, 청춘 의 입선작들의 작가가 문단에 오르는 사례가 여럿 있었다. 청춘 의 독자투고란을 심사한 이는 최남선과 이광수이다. 최남선은자기 대상 글쓰기에 대해서 인성 및 바람직한 삶의 태도를, 자연문물에 대한 글쓰기는 자연을 관찰하는 안목과 문물에 반응하는 자세 등을 평가 하였는데 이는 글을 통해 글쓴이를 판단하려는 전통적 평가관의 지속으로 파악된다. 이광수는 전통사회의 소설 향유 문화와는 대척적인 입지에서 새로운 근대적인 소설관을 적용하였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언문일치의 표현, 작가적인 전문성, 교훈성이나 관념성이라는 전통적인 소설의 성격과 거리두기, 근대적인 신사상 등이며, 이러한 그의 관점에서 선발된 이는 이상춘, 김명순, 주요한 등이다.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해 청춘 지 독자투고란의 어문교육사적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청춘은 소년의 뒤를 이어 독자투고를 통한 어문교육의 장으로서 그 역할을 하였다. 둘째, 청춘은 잡지사상 소설에 대한 최초의 모집과 평가를 하였다. 셋째, 청춘 은 심사와 평가를 통해서 서간체라는 특정한 문체를 사회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마지막으로, 글을 통해 사람을 보는 평가관이나 글을 평가하는 다양한 표현들도 현재 작문 교육의 참조 사항이 될 수 있다.

<靑春(Chung-Choon)>(1914. 10~1918. 9.) was the first magazine in korea which regularized readers`` writings. This study focused on the educational role of articles for readers` writing of this magazine. The summary is as followed. <靑春(Chung-Choon)> gathered three kinds of writing such as ‘texts for making a records of native place``, ``texts for informing of oneselves``, and ``short stories``. Among these three texts, ``short stroies`` are first contributed item in korea. 崔南善(Choe, Nam-Sun) and 李光洙(Lee, Kwang-Soo) were judges for readers`` writing in <靑春(Chung-Choon)>. 崔南善(Choe, Nam-Sun) evaluated the writers humanity and attitudes of life in ``texts for informing of oneselves``, and insight of natures and attitudes of responding for things in ``texts for making a records of native place``. 李光洙(Lee, Kwang-Soo) adopted the notion of modern novel which was against of traditional novel culture in ``short stroies``. In details, the notion of modern novel represented such as ``the unity of speech and writing``, ``professionality of writers``, ``making a distance from instructive theme and abstract descriptions which emphasized in traditional novels``, and ``modern ideolog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