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8.40.207
18.188.40.207
close menu
사고와 표현 교육의 시대적 함의
Die zeitgeistige Implikation der akademischen Bildung vom Denken und Ausdrueken
하병학 ( Byung Hak Ha )
작문연구 5권 289-312(24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1503923

동물도 언어를 사용하는가 하는 물음은 궁극적으로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 구체적으로 말하면 인간의 언어와 사고 관계에 대한 물음이다. 이는 ‘사고와 표현’ 교육이 바로 인간됨의 길에 중요한 의미를 지님을 말한다. 현대에 들어와 표절·날조 등으로 대변되는 학문의 위기가 절정에 달하고 있다. 이는 학문의 본성을 체득할 수 있는 교과목이 제대로 개설되지 않아 발생되었다. 그런데 고등학교 교육에서 ‘사고와표현’ 교육을 대표하는 논술은 상업주의와 사회갈등 조장이라는 위험성을 지닌 거대 언론사들로부터 위협을 받을 기미가 보인다. 한편 학문의 위기는 인문학의 위기에서 정점에 도달한다. 하지만 인문학의 위기를 단지 인문학에 대한 재정 지원의 문제로 돌리는 것은 인문학의 본질을 망각한 태도이다. 인문학은 원래 통합학문이며 보편학문이다. 또한 교육을 간과해서는 안 되는 본성을 갖고 있다. 바로 이 지점이 ‘사고와 표현’ 교육을 요구하는 우리시대의 함의를 읽을 수 있다. 사고와 표현 교육은 각전공영역에서 벗어나 사고력과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하고 타자 이해와 자신에 대한 성찰을 가능케 하는 기초학문으로 거듭나야 한다.

Die alte Frage, ob die Tiere auch sprechen koennen, bezieht sich auf das Wesen des Menschen und zwar die Relation zwischen Denken und Ausdruecken von Menschen. Das zeigt, dass die akademische Bildung vom Denken und Ausdruecken nichts anderes als der Weg des Menschenwerdens ist. Zur Zeit findet es sich in Korea die Krise der Wissenschaft unter dem Namen des Plagiates und der Faelschung. Wenn man aber diese Krise grundlich betrachtet, stammt sie eigentlich aus der Vergessenheit des Wesens der Wissenschaftsforschung als Menschentun. Die Ursache der Krise der Geisteswissenschaft ist nicht die ungenuegende finanzielle Unterstuetzung, sondern die Vergessenheit ihres Wesens, dass sie eigentlich keine spezifische Fachwissenschaft, sondern eine allgemeine Grundwissenschaft ist. Es ist die zeitgeitige Implikation der akademischen Bildung vom Denken und Ausdruecken, dass sie sich als eine allgemeine Wissenschaftstheorie rehabiliter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