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2.53.68
3.142.53.68
close menu
KCI 후보
쓰기 평가 연구의 주요 과제
The Key Issues of Writing Assessment Research
박영목 ( Young Mok Park )
작문연구 6권 9-37(29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1503938

이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의 쓰기 평가가 학생들의 쓰기 학습을 실제적으로 도와주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쓰기 평가의 일차적인 목적은 쓰기 영역 교수학습의 개선에 두어야 한다는 점, 쓰기 평가는 쓰기영역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에 대한 비판적 탐색을 반영하고 허용해야 한다는 점 등을 고구하였다.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의 쓰기 평가가 쓰기 교육의 본질에 충실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쓰기 능력의 발달에 대한 학교와 가정과 사회의 중요한 역할을 반드시 인식하고 반영해야 한다는 점, 쓰기활동에 내재된 복합성을 인식하고 반영해야 한다는 점, 쓰기 평가는 공정하고 공평해야 한다는 점, 쓰기 평가는 학교 공동체에 그 기반을 두어야 한다는 점 등을 쓰기 평가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쓰기 평가의 질적 개선과 제고를 위하여 시급히 연구해야 할 과제로서 쓰기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쓰기 영역 성취도 평가에 관한 연구, 국어과 쓰기 영역의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국어과 교사의 쓰기 평가 전문성 기준에 관한 연구, 논술 능력의 평가에 관한 연구, 쓰기 평가 방법과 도구에 관한 연구, 다중 매체 시대의 쓰기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 쓰기 평가 과제에 대한 연구, 쓰기 평가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goal of all types of writing assessment is to help students become better writers. Until recently, the formal assessment of student writing has focused on the quality of students`` finished texts. However, the emphasis on writing process has produced a different approach to writing assessment. The varied approaches currently used to assess writing ability reflect the changing beliefs about how writing should be taught and how writing assessment should be conducted. The key issues of writing assessment research are to understand the complexities of writing assessment. The key issues of writing assessment research are writing assessment standards,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y standard in writing assessment, direct assessment methods of writing ability, writing assessment methods in the age of multi-literacies, writing assignments, an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writing assessment. The ideal form of writing assessment should be dynamic, equitable, instructionally effective, technically sound, and context ba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