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3.0.157
3.143.0.157
close menu
KCI 등재
고등교육 환경에서의 전환 활동이 발달장애대학생의 직업능력과 학업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ransition Activities to Promote Vocational and Academic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Higher Education Settings
박정식 ( Jung Sik Park )
지적장애연구 15권 2호 81-103(23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645887

본 연구는 평생교육과정으로서 발달장애대학생들에게 대학기반(campus-based)의 직업중심, 학업중시, 생활중심의 전환활동을 제공하고 있는 고등교육 기관의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보는 실증연구이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으로 고등교육 환경에서의 전환활동이 발달장애대학생의 직업능력과 학업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했다. 연구방법으로 경북에 소재하고 있는 D 대학교 평생교육 산하에 설치된 K-PACE에 재학 중인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K-PACE의 전환활동 프로그램을 4개월간에 실시한 후 직업능력과 학업능력 검사를 통해 그 효과성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고등교육 환경에서의 전환활동은 발달장애대학생의 직업능력에 효과가 있었다. 특히, 직업적인 영역인 진로선택 및 계획과 고용관련 지식 및 기술에 모두 효과가 있었다. 둘째, 고등교육 환경에서의 전환활동은 발달장애대학생의 학업능력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학업적인 영역인 중등학교 졸업 이후 교육, 기능적 의사소통, 자기결정 모두 에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고등교육은 학업적, 직업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통합된 교육과 정으로 구조화 될 때 효과가 나타나고 사회에 필요한 전환능력을 갖출 수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발달장애학생의 중등학교 이후 교육에 대한 함의를 높이는데 기여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ampus-based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that providing vocational, academic, and independable transition activities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pecific purpose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ransition activities to promote vocational and academic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higher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universit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nrolling K-PACE program under lifelong education at D University. These students participated in transition activities of K-PACE program for four months and vocational and academic ability were asses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ransition activities of higher education setting showed positive effect for improving vocational abilitie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specially, these activities showed effect in areas of career decision & planning and knowledge & skills related to employment. Second, transition activities of higher education setting showed positive effect for improving academic abilitie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specially, these showed effect in areas of postsecondary learning skills, functional communication, and self-determination. Therefore, higher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ll be effective and helpful for students to be prepared to have transition skills when these program comprise integrated curriculum academically, vocationally, and socially. This study will contribute for increasing the recognition of need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