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184.214
18.218.184.214
close menu
KCI 등재
국어학 : 국어 복합문과 의미적 통제
Semantic Control in Korean Complex Sentences
양정석 ( Jeong Seok Yang )
배달말 52권 1-50(50pages)
UCI I410-ECN-0102-2014-700-001481592

국어 복합문의 구조적 분화를 결정하는 연결어미 및 전성어미들을, 이들 어미의 어휘의미가 통제 관계의 형성에 기여하는지를 기준으로 검사한 결과. 국어 복합문들에서의 하위절 공범주 주어의 특성을 다음 3가지로 나누게 되었다. (1) 하위절의 연결어미 또는 ``선어말어미+종결어미``결합(예: 의도의 ``-겠-다``), 또는 느낌형용사가 의미적 통제의 요인이 되는 구문의 공범주 주어: pro로 실현된다. (2) 이차 서술어인 절과 그 주어가 서술화 원리에 따라 맺어질 때의 이차 서술어 절의 공범주 연산자: 공번주 연산자 Oi가 주어나 목적어 위치에 그 흔적(ti)을 가지는 것으로 표상된다. (3)비-의적 통제의 특성을 가지는 하위절 주어로서의 por: 대명사의 일종인 이 pro는 담화·화용적 요인에 의해, 상이한 절의 주어나 비-주어 성분, 또는 그 외의 화용적으로 부각되는 사물을 가리킬 수 있다. (1)은 어휘의미적 요인에 의해서 상·하위절의 논항들의 동지시가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이 현상을 중심으로, 형식의미론과 개념의미론의 의미 기술 방법을 활용하여 의미적 통제가 통사구조와 의미구조에서 실현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연결어미가 가지는 양상, 시상성 등 의미 또는 느낌형용사가 가지는 의미 자질을 촉발자로 해서, 형상적 의미구조를 바탕으로 하위절 주어와 상위절 주어, 목적어, 후치사구의 동지시가 이루어진다. 의미적 통제 현상을 유발하는 의미 자질로 Jackendoff & Culicover(2003)의 의도성, 의무성, 능력성, 규범성, 사동성, 요청성의 6가지를 확인하였고, 여기에 국어에 특유한 의미적 통제 형상을 위한 느낌성, 상황성을 추가하였다. 이들 8가지 자질 중에서 상황성은 다른 자질들의 상이 자질로서의 성격을 가진다고 보았다. (2)는 통사적 요인에 의해서 상·하위절 논항들의 동지시가 이루어지는 경우이며 (3)은 담화·화용적 요인에 의한 우연적 동지시의 예이다. 특히 (2)에서는 공범주 연산자와 그흔적을 가지는 절이 서술화 원리에 의해 ``통제``현상을 실현시킨다. 의미적 통제 현상에 대한 새로운 기술 방법에 따라 국어 복합문 구조에서의 공범주 현상들을 새롭게 서술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르면 통제 이론을 PRO의 생성과 해석에 관한 이론으로 보는 관점은 폐기된다. PRO의 존재를 통해 설명되었던 통사구조의 위치는 pro와 t가 대신하게 된다. 통제 현상의 주요 요인은 의미론적인 것이고, 통사적 서술화 원리에 따라 부가어 절의주어와 주절의 주어가 동지시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내포절의 주어로 나타난 pro가 그 대명사적 성질에 따라 담화·화용적으로 부각되는 주절 주어와 동지시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In this study I put the whole body of Korean complex sentence structures in the light of the notion ``control``, and find out that semantic factors determine the controllers in major control sentential constructions of the language. Drawing on Jackendoff & Culicover(2003), I attribute the existence of the major control constructions in Korean to a limited number of basic predicates in configurational conceptual structures that impose an argument binding between an argument of the higher conceptual predicate and the ``subject`` argument of the lower conceptual clause. Each of the basic conceptual predicates comes from the meaning of various kinds of lexical items. Crucially, in Korean, basic conceptual predicates in connective verbal endings trigger the formation of control conceptual structures. I also work out a typology of Korean complex sentences focusing on the semantic control. One group of Korean complex sentences characteristic of control have connective endings that contain modal meaning: e.g., complex sentences bearing connectives like ``-ulyeko`` contain the conceptual predicate ``INTEND``. Other group of control complex sentences have aspectual meaning: e.g., the connective ``-ko`` in so-called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contains the conceptual predicate ``BEcirc``, which forms a control relation between its first argument and the second argument as a conceptual clause. Still other group of control complex sentences have the meaning of subjective-judgement adjectival verbs: e.g., adjectival verbs like ``silh-`` contains the conceptual predicate ``BEfeel``, which forms a control relation between its first argument(``the subject``) and the first argument of its higher clausal predicate. And, finally, there is a group of ``control`` complex sentences that originate from purely syntactic factors: e.g., complex sentences bearing the connectives like ``-ese`` can form a secondary predicate clause which is licensed by the syntactic principle of predic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