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196.105.235
54.196.105.235
close menu
KCI 등재
국어학 : 의도표현에 대하여 “-려 하(다)”, “-려고(요)”, “-려고 하(다)”를 중심으로
As to expression of intention -with focus on “-ryeo ha(da)”, “-ryeogo(yo)”, “- ryeogo ha(da)”-
양지현 ( Ji Hyeon Yang )
배달말 52권 51-74(24pages)
UCI I410-ECN-0102-2014-700-001481603

이 글은 ``-려 하(다)``와 ``-려고 하(다)``, 문말에 나타나는 ``-려고(요)``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의도를 나타내는 ``-려고’가 처음부터 쪼갤 수 없는 기본 형태인지, ``-려 하(다)’는 ``-려고 하(다)``의 ``-고``가 수의적으로 탈락될 뿐, ``-려고 하(다)’와 ``-려 하(다)’는 동일한 것인지 등에 대해서 그 형성과정을 통해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논의가 접속어미로서의 ``-려고``에 집중되어 있거나 다른 의도 표현과의 관계 속에서만 살피고 있을 뿐, ``-려 하(다)``나 ``-려고 하(다)``, 문말에 나타나는 ``-려고(요)’에 대해서는 크게 관심을 두지 않고 있으므로, 각각의 의미적·통사적 특성에 대해서도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려 하(다)’는 중세에서부터 쓰였다. ``- 려 ㅎ(다)’는 선행용언에 [+내면성]을 부여하는 ``-리-``가 결합한 ``-리어 ㅎ(다)’이다.``- 려 하(다)’는 어떤 행위를 드러내기 위한 표현이라기보다는 행위주의 ‘의도’나 화자의 ‘추측’과 같은 [+내면성]을 나타내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진 표현이다. 그러나 행위주가 일인칭이 아닌 경우, 행위주의 ‘직접적인 행동’을 표현할 때도 쓰인다. 이런 ``-려 하(다)’는 첫째, 행위에 대한 행위주의 인칭 등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행위주가 무정명사인 경우에도 표현 가능하다. 둘째, 부정 표현에서 행위주의 의도를 드러낼 때는 의지부정인 ‘안’ 부정문만 가능하다. 셋째, ``-려 하(다)``는 행위주가 무정명사일 경우, 부정표현을 쓸 수 없다. ``-려고(요)``의 ``-려고``는 ``-려 ㅎ고’로 쓰던 말에서 ‘ㅎ-’가 줄어들어 ``-려고’가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두 어구가 줄어들 때는 둘째 구의 어간 ‘하-’가 생략된 것이다. ``-려고’의 첫 등장은 접속어미로서이다. 접속어미 ``-려고’는 문법화 과정을 거쳐 문말에 ``-려고(요)’로 실현된다. ``-려고(요)’는 행위주의 ‘행위’는 드러내지 않고, 오로지 ‘의도·의향``만을 드러내는 표현이다. ``-려고(요)’는 담화 참가자, 즉 화자와 청자가 행위주인 경우만 실현 가능한 표현으로, 행위주가 삼인칭일 때는 비문이 된다. ``-려고(요)``가 ‘의도·의향``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부정표현에서 의지 부정인 ‘안’ 부정만 가능한 것이다. ``-려고 하(다)``는 접속어미 ``-려고’로 연결된 복문의 후행절이 ‘하(다)’로 대체되었다고 볼 수 있다. ``-려고 하(다)’는 ``- 려 ㅎ고 하(다)`` 구성이므로, ``-려 하(다)’ 나 담화 상 표현인 ``-려고(요)`` 보다 ‘하(다)’가 한 번 더 쓰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려고 하다)’는 행위주의 의도를 드러낼 뿐만 아니라 의도를 수행하기 위한 어떠한 직접적·간접적 행위가 있음을 나타낸다. 통사적 측면에서 ``-려고 하(다)’는 ``-려 하(다)’와는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 행위주의 인칭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점, 행위주가 무정명사인 경우에도 표현이 가능하다는 점, 부정 표현에서 행위주의 의도를 드러낼 때 ‘안’ 부정문만 가능하다는 점 등은 ``-려 하(다)’와 동일하다. 다만, 행위주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묻는 표현에서는 외적인 동작성이 드러나는 ``-려고 하(다)’보다는 ``-려고(요)’나 ``-려 하(다)’가 더 자연스럽다.

Wording ``-ryeo`` is often used in modem Korean language when one intends to express one`s ``intention``. This writing is a study on formation process and meaning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ryeo ha(da)`` and ``-ryeogo ha(da)`` as well as ``-ryeogo(yo)`` which appears at the end of sentence. First of all, -ryeo ha(da)`` has been used since the middle age. Wording ``-ryeo ha(da)`` is ``-rieo ha(da)`` combined with ``-ri-`` which renders [+intemality] to preceding predicate. ``-ryeo ha(da)`` is an expression focusing on [+intemalityi such as ``intention`` of a doer or ``a guess`` of a speaker rather than an expression revealing a certain behavior. However, it sometimes is used to express ``direct behavior`` of a doer even if a doer is not the first person. First, such ``-ryeo ha(da)`` is not restricted by the person of doer with respect to behavior. In addition, such an expression is possible even in case a doer is inhuman noun. Second, ``an`` negative statement is only possible when intention of a doer is to be shown in a negative expression. Third, ``-ryeo ha(da)`` cannot be used in a negative expression if a doer is a inhuman noun. ‘-ryeogo`` of ``-ryeogo(yo)`` is deemed that ``ha-`` diminished from ``-ryeo hago``, which resulted in ``-ryeogo``. The stem ``ha-`` in the second phrase is omitted when two phrases diminish. ``-ryeogo`` first appeared as conjunctional ending. The conjunctional ending ‘-ryeogo`` is realized as ``-ryeogo(yo)`` at the end of a sentence through grammaticalization process. ``-ryeogo(yo)`` is an expression to expose only ``intention·intent`` instead of showing ``behaviour`` of a doer. ``-ryeogo(yo)`` is an expression which can be realized only when a speaker and a listener, i.e. conversation participants, are doers; if a doer is the third person, it will be an ill-formed sentence. ``-ryeogo(yo)`` has a meaning of ``intention intent`` so that ``an`` negative statement is only possible in a negative expression. ‘-ryeogo ha(da)`` can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clause in a complex sentence connected with ``-ryeogo`` is replaced by ``ha(da)``. ``-ryeogo ha(da)`` is a composition of ``-ryeo hago ha(da)`` and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ha(da)`` is used once more than ``-ryeogo ha(da)`` or ``-ryeogo(yo)`` of conversational expression. ``-ryeogo ha(da)`` reveals not only intention of a doer but also existence of a certain direct indirect behavior to conduct intention. From the syntactic viewpoint, ``-ryeogo ha(da)`` has not a big difference from ``-ryeo ha(da)``. It is same as ``-ryeo ha(da)`` in following aspect; it has no restriction from the person of a doer; its expression is possible even in case a doer is an inhuman noun; and, ``an`` negative statement is only possible to expose intention of a doer in a negative expression. However, in an expression to directly ask intention of a doer, ``-ryeogo(yo)`` or ``-ryeo ha(da)`` is more natural than ``-ryeogo ha(da)`` which reveals external motional nat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