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7.144.32
18.217.144.32
close menu
KCI 등재
국어교육 : 시적 정서 교육을 위한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for the Education of Poetic feelings
오정훈 ( Jeong Hun Oh )
배달말 52권 267-307(41pages)
UCI I410-ECN-0102-2014-700-001481678

시적 정서는 시작품을 통해 유발되는 심리적 차원의 울림으로 규정될 수 있다. 작품에 서려 있는 작가의 정서와, 이에 대한 독자의 수용의 결과로 형성되는 다양한 층위의 내면적 상태를 일컫는 것이다. 이처럼 근원적으로 작가와 독자의 심리적 소통을 전제로 이루어지는 시적 정서는 중요한 시 교육의 내용 항목으로 설정 가능하다. 하지만 시적 정서가 비가시적인 형태의 내적 자질이라는 것과, 독자의 개성이나 문학적 경험에 의해 동일한 작품에 대해서 나타나는 정서적 반응이 다양하다는 것을 염두에 둔다면, 교육적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교육의 가능성은 명시화할 수 없는 한계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시작품의 주요한 본질이 정서유발이라는 것에 주목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서 가시적으로 교육하기 위해 정서의 실체를 명확히 할 수 있는 경유지로서의 거점을 재설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거점을 통해 작품 이면에 존재하는 정서의 실체를 발견하고 이를 강화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해 보았다. 즉 시적 정서를 직간접적으로 반영한 정서어휘, 인물과 사건의 특수성으로 인해 표출되는 복합적 정서가 뒤섞여 존재하는 상황에 대한 인식, 작가의 정서와 결부된 가치 인식에 대한 파악을 통해 시적 정서 교육의 실효성을 고찰해 보았다. 시적 정서는 단순한 느낌의 수준을 뛰어넘는 것으로서 인지와 정서의 상호교섭을 통해 유발되는 고도의 인식적 기제임에 주목하고, 정서어휘를 통해 파악되는 감각적 느낌 차원의 일차적인 시적 정서뿐만 아니라, 인지적 요소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심화되고 상세화될 수 있는 시적 정서까지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정서어휘 활성화``, ``상황 인식``, ``가치 인식``을 통한 정서 파악하기의 방법을 통해 실질적 차원에서 시도해 본 시적 정서 교육은 결과적으로, 작품 속에 형상화된 작가의 정서 파악은 물론, 작품에 대해 차별적으로 형성되는 학생들의 내밀한 정서 심화에도 효과적임을 입증할 수 있었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is study has intended to prove that the emotion in poetry can be reveale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cognition and be deeply involved by ``emotional vocabulary, situational awareness, and value cognition other than a level of simple feelings grasped intuitively. ft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emotion with an ambiguous feeling came to clearly expose its true nature by students`` expressing their feelings in the process of reading a work using their own emotional vocabulary on the basis of the emotional vocabulary in poetic works, which contributed to their understanding of delicate emotions. Noting the background, characters, objects and events that belong to the situational composition, this writing reinforced students` cognitive ability in the situation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inner meanings of a work about individual attributes an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sitional elements; as a result, it was found to give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formation of students` works. In addition, this writing confirmed that value cognition had an influence on students` in-depth feelings about the emotion of a work through the process of tracing an author`s value cognition premised in his/her work, and revitalizing a student`s own critical and empathetic views of such valu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