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7.195.65
3.147.195.65
close menu
KCI 등재
자살시도 병사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관한 개념도 연구
Concept Maps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Soldiers Who Actually Attempted Suicide
정신영 ( Shin Young Jeung ) , 이동귀 ( Dong Gwi Lee ) , 박현주 ( Hyun Joo Park )
상담학연구 13권 1호 113-133(21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150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군(軍)에 입대 후 자살시도를 경험한 병사 7명의 진술문을 기초로 개념도 분석 방법 (concept mapping method)을 적용하여 병영 내 실제 자살시도자들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그들의 입장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자살시도 경험의 핵심적 본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자살시도병사들의 위험요인 핵심문장은 66개, 보호요인 핵심문장은 44개로 정리되었다. 핵심문장들에 대해 다차원 척도 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살시도병사들의 위험요인은 ‘외부적 영향 및 내부적 요인’ 축과 ‘관계 및 통제된 환경’ 축의 2차원으로 구성되었고, 군집은 총 4개로 분류되었다. 각 군집은 ‘선임병 및 간부의 무시, 인격모독에 의한 자존감 저하,’ ‘통제된 군대 생활에 대한 괴로움,’ ‘통제 상황을 벗어나려는 노력의 좌절로 인한 고통,’ ‘의지할 대상이 없어서 느끼는 외로움과 소외’로 명명되었다. 자살시도병사들의 보호요인은 ‘능동성 및 수동성’ 축과 ‘쌍방향성 및 일방향성’ 축의 2차원으로 구성되었고, 군집은 총 3개로 분류되었다. 각 군집은 ‘대화와 소통을 통한 이해 받는 경험,’ ‘한번 해보자는 자기암시,’ ‘사회적 지지를 통한 격려’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접근의 제한성으로 연구 참여가 어려웠던 군대 내 자살에 취약한 고(高) 위험 병사들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개념적 구조를 연구 참여자의 입장에서 그들만의 독특한 특성을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for soldiers (N = 7) who actually attempted suicide based on their empirical statements and critical nature of attempted suicide us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 The analysis of interview transcripts resulted in 66 core statements for risk factors and 44 ones for protective factors. Using multidimensional mode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es, four cluster themes emerged for the risk factors: Severe threats to self-esteem caused from disdain of senior soldier and cadre, extreme distress associated with strictly-controlled military life, pain and frustration from failed efforts to overcome controlled environment, and feelings of isolation and loneliness due to lack of dependable and caring objects. As for the protective factors, three cluster themes appeared: Experiences of being accepted and understood through genuine conversations and interactions, positive self-suggestions and encouragements, and empowerment by external social support resources.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its significance in exploring the concept structure of suicide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in military through a mixed method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