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13.209
3.149.213.209
close menu
KCI 등재
사회부과 완벽주의 및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우울간의 매개변인 탐색: 사회불안과 반추
Exploration of Mediators between Perfectionism (Socially-prescribed and Self-oriented) and Depression: Social Anxiety and Rumination
김병직 ( Byung Jik Kim ) , 이동귀 ( Dong Gwi Lee ) , 이희경 ( Hee Kyung Lee )
상담학연구 13권 2호 417-436(20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166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200명의 대학생(여자 53.5%)을 대상으로 개인의 완벽주의 특성 중 ‘자기지향 완벽주의’ 및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사회불안과 반추 경향성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을 사용하여 완벽주의, 사회불안, 반추, 우울 등의 변인들 간의 순차적 경로모형의 타당성을 확인한 결과, (1)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본 연구의 가설대로 사회불안을 매개로 하여 반추에 영향을 미쳤고, 반추는 다시 우울로 연결되었다. 그러나 (2) 자기지향 완벽주의 와 우울 사이에서 사회불안과 반추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undertaken with 200 college students (53.5% women) tested whether social anxiety and rumination mediated the link between perfectionism (socially-prescribed and self-oriented, respectively) and depress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tested the hypothetical model positing the structural paths among the variables and interpreted the goodness of fit of the model to the data. Both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ere included in the model given that they captured the intrapsychic or self-directed nature of expectation toward perfectionism. The results showed that (1) social anxiety and rumina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but (2)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ly mediated by social anxiety and rumina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