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8.151.231
13.58.151.231
close menu
KCI 등재
부모애착,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억제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Parental Attachment, Internalized Shame, and Anger-In on Interperson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김남연 ( Nam Yeon Kim ) , 양난미 ( Nan Mee Yang )
상담학연구 13권 5호 2309-2328(20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263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부모애착,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억제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지방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24명(남학생 134명, 여학생 86명, 무응답 4명)이었고 부모애착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분노억제 척도와 대인관계문제 척도를 사 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얻은 자료는 변인간의 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애착과 모애착은 서로 정적 상관이 있었고 부모애착은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억제 및 대인관계문제와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내면화된 수 치심, 분노억제와 대인관계문제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 및 분노억제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애착과 모애착은 유의하지 않았고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억제의 순으로 상대적인 영향력이 높았다. 셋째, 부모애착,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억제 간의 구조적 관계를 가정하여 탐색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한 결과 부애착은 내면화된 수치심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면화된 수치심은 분노억제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 의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parental attachment, internalized shame, and anger-in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24 college students (male 134, female, 86, non-response 4) enrolled in colleges in Seoul and the provinces. F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had been mad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ternal attachment and maternal attach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parental attachmen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nalized shame, anger-in, and interpersonal problems,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internalized shame, anger-in, and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paternal attachment and maternal attachment were not significant, the relative impacts were high in the order of internalized shame and anger-in. Third,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paternal attachment affects negatively internalized shame, internalized shame affects positively anger-in and interpersonal problems. Fourth, the indirect effects of paternal attachment on interpersonal problems is significant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anger-in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finding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