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0.106.241
18.220.106.241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의 지각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이차원적 진로유형과 학습행동과의 관계
The Relation of Two Dimensional Typology in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with College Students` Learning Behavior
김연중 ( Yeon Jung Kim ) , 손은령 ( Eun Young Son )
상담학연구 13권 5호 2443-2461(19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271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두 축으로 하여 이차원적 진로유형화를 시 도한 후, 각 유형별 특징과 대학생의 학습행동 양상을 알아보았다.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856명에 게 진로장벽검사, 진로결정자기효능감검사, 진로결정수준검사, 진로준비행동검사, 학습행동검사를 실 시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축으로 한 4 개의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 유형별로 성별과 학년별 분포에 차이가 나타났다. 남녀학생 모 두 긍정적인 유형과 부정적인 유형의 분포가 높았으며 학년의 진급에 따라 긍정적인 유형의 분포는 높아지는 반면 부정적인 유형의 분포는 낮아졌다. 둘째, 유형들 간의 전공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의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학습행동에 차이가 있었으며 긍정적인 유형, 도전적인 유형, 자신 없는 유형, 부정적인 유형의 순으로 학습행동 점수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와 학습문제의 차별적 진단과 차별적 처치를 위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후속연구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if four different types were obtained when the two variables includ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wer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and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college students` learning behaviors in accordance with such four different types. 856 college students were sampled and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l the four types appear differently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level. The composition ratios of positive type and negative type were higher than those of diffident type and challenging type in all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the composition ratio of positive type was increased while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negative type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 grade level. Second, it was appeared that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in major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career decision making level in accordance with carrier types. Third, the scores of learning behaviors in accordance with career types were higher in the order of positive type, challenging type, diffident type and negative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essential references for career counseling and academic assistance to college students. Lastly,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