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52.140
3.144.252.140
close menu
KCI 등재
예방상담학적 관점에서의 국내 청년실업 연구동향과 개입방안
Research Trends and Intervention Plans on Youth Unemployment in Korea from the Preventive Counseling Perspective
이아라 ( A Ra Lee ) , 이주영 ( Ju Young Lee ) , 김계현 ( Kay Hyon Kim )
상담학연구 14권 1호 115-141(27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317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청년 실업은 사회적·개인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심각한 문제로, 그 필요에 따라 실업의 원인과 해결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년 실업 연구의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청년 실업의 양상을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개입에서의 시사점을 예방상담학적 관점으로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 해 먼저 학진등재지 후보 이상의 논문들과 학위논문 총 93편을 대상으로 연구 전공분야, 연구 주제, 연구 형태를 분석하였다. 청년실업 연구를 수행한 전공분야를 살펴본 결과, 상담, 심리, 교육 분야에서의 연구가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생태적 모형(socioecological model)의 틀로 국내 청년 실업과 관련된 연구의 주제를 분석한 결과, 주로 실업에 대한 외부환경요인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업 대상자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나 문제해결과 관련된 개인행태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형태의 경우 기존의 실업관련 정책이나 제도와 관련된 문헌을 다시 분석한 연구들이 가 장 많았으며, 실제 실업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하는 현상을 관찰하거나 실험을 통해 인과관계를 규명한 연 구들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음으로 예방상담학적 관점에서 청년 실업 문제에 대한 상담적 개입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관련변인들을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다른 요인들에 비해 개인 차원의 요인들이 보다 다양하게 연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예방상담학적 관점에서 분류했을 때 1차 혹은 2 차 예방 시점에서 진행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으므로 상대적으로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는 장기실업자를 대상으로 한 3차 예방 시점에서의 연구가 보다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추후 연구가 필요한 영역을 제시하고, 개입방향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Youth unemployment is a significant problem that needs to be tackled at the national and individual levels. The current study explored the research trend in youth unemployment in Korea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phenomenon and identify implications for prevention interventions. For this, the study first analyzed 93 journal articles and theses for specialty field, research topic, and research form.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lack of related research in the fields of counseling, psychology, and education despite the fact that the issue of youth employment is highly pertinent to individuals` psychological problems and career. Also, the research topics related to youth unemployment were classified into external environment factor, host factor (intrapersonal factor), individual behavior factor according to the socioecological model. Such classification showed that most studies focus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of unemployment, and demonstrated the need for more research into factors that affect the unemployed or individual behavior factor related to problem solving. As for the form of research, many studies had reanalyzed previous literature on unemployment-related policies and systems. In contrast, studies that investigated into the actual experiences of the unemployed or the causal relationships through experiments were extremely rare.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the individual experiences of unemployment and identify specific mechanisms that can help overcome the problem. The current study identified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youth unemployment based on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Through thi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ntervention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