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60.166
3.145.60.166
close menu
KCI 등재
미성년의 부모용 이혼준비도 척도 개발
The Development of Divorce Readiness Scale for Parents with Underage Children
강정실 ( Jung Sill Kang )
상담학연구 14권 1호 593-607(15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341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이혼을 고려하는 부부들이 이혼 이후의 상황에 대해 어느 정도 준비가 되어 있는가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와 개방형 질문의 내용을 근거로 하여 리커르트(Likert)식 5품등 척도(1점: 거의 그렇지 않다, 5점: 매우 그렇다)로 구성된 50개문항을 작성하였다. 문항을 작성한 후 상담 심리 전문가 1인에게 문항내용의 타당성을, 국어교사 1인에게 문항 표현의 적절성을 자문 받았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설문지를 사용하여 성인 366명을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에 대해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17개 문항, 3개요인으로 구성된 척도가 개발되었다. 요인 1(6문항)은 부모역할, 요인 2(6문항)는 사회적 지지, 요인3(5문항)은 생활적 자립으로 명명하였다. 이 척도 전체의 Cronbach의 ? 계수는 .913이고, 3개 요인각각의 Cronbach의 ? 계수는 .844∼.909이었다. 각 요인 간 상관은 .601∼.719, 요인과 전체 상관은.817∼.887로 나타났다.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성인 525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여러 가지 적합도 지수들을 살펴본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얻은 척도모형이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활용방안에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ivorce readiness scale for parents with underage children. This study was involved two separate phases. Phase one was to develop a divorce readiness scale, consisting of four steps. First, 50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oretical literature and open-ended questions. Second, a counseling psychologist and a korean teacher rated the content validity of those items. Third, the scale consisting of 50 items was administered to samples of 366 adults with underage children. Finally,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divorce readiness scale with 17 items was created. The scale was consists of threefactors. They was 1) parental role, 2) social support 3) life of independence. The Cronbach``s alpha for the scaleis .913. Phase two wa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ivorce Readiness Scale. To identify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17 items performed for 525 adults. The fit indices for the modelwere as follows: χ2(df=116, N=525) =336.238, p=.000; Normed χ2 = 2.899; RMR= .055; GFI = .902;AGFI = .901; TLI = .912.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as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