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6.35.203
3.146.35.203
close menu
KCI 등재
기혼남녀의 자아상태와 사랑유형에 따른 결혼만족도
Marital Satisfaction on Ego-states and Love-types of Married men and women
박성애 ( Sung Ae Park ) , 하정 ( Jung Ha )
상담학연구 14권 2호 931-949(19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357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결혼생활관련변인을 포함하여 자아상태와 사랑유형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기혼남녀 28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주로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기간이 짧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았으며 함께 동거하는 부부의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양육적 어버이 자아(NP)와 결혼만족도와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판적 어버이 자아(CP)와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랑유형에서는 열정적 사랑유형과 친구 같은 사랑유형, 헌신적인 사랑유형이 결혼만족도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희적 사랑유형은 결혼만족도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른 변수들에 비해 사랑유형이 결혼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결혼만족도를 29% 설명하였다. 이는 결혼생활과 부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환경이나 조건, 배경보다는 배우자의 성격과 사랑 등의 심리적, 정서적 태도 등이 높은 결혼만족도를 갖게 하는 가장 중요한 변인임을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rious variables that actually influence on marital satisfaction. 320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arried men and women, and 280 copi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questions devised for this study and ego gram test, love-type test, and Global distress Scale among 14 subscales of K-MSI. Al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SPSS WIN 12.0program.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are ego-states explained 10 percent of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love-types were the most powerful variation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which explained 29 percent of the marital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love-type variables were important factors to increase the marital satisfaction. These results can be the basis data for couple counselling, therapy and educ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