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3.0.157
3.143.0.157
close menu
KCI 등재
남녀 고등학생의 자존감과 섭식억제의 관계에서 신체비교와 신체불만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Physical Comparison and Body Dis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Restrained Eating among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양난미 ( Nan Mee Yang ) , 이동귀 ( Dong Gwi Lee ) , 박현주 ( Hyun Joo Park )
상담학연구 14권 3호 1817-1840(24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403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검증되었던 자존감, 신체비교, 신체불만족과 섭식억제의 관계를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확인하여 청소년기의 섭식문제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남자 고등학생 273명과 여자 고등학생 207명으로 총 480명이었고 자존감, 신체비교, 체형에 대한 불만족 및 섭식억제 척도 등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대안모형을 설정하였고 두 모형 중 고등학생 집단을 더 잘 설명하는 모형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개별변수의 영향력과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형 검증 결과 자존감과 섭식 억제의 관계를 신체비교와 신체불만족이 부분매개하는 연구모형이 대안모형보다 자료를 더 잘 설명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존감이 섭식억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비교와 신체불만족의 매개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성별에 따른 모형검증 결과 남녀 고등학생 집단 모두에서 연구모형이 더 좋은 모형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다집단분석 결과 절편동일성이 기각되어 남녀 고등학생 집단의 잠재평균을 비교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relations among self-esteem, physical comparison, body dissatisfaction, and restrained eating have been established with university students· The current study purports to confirm the aforementioned relations with high school male and female students· Participants were 480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nam-do area· We created a research model and an alternative model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examined which model could better explain high school students` restrained eating· In addition, a multi-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Main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model which hypothesized physical comparison and body dissatisfaction as partial mediators was found to be a better model compared to the alternative model·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both physical comparison and body dis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restrained eating were significant· Third, the research model was found to be a better model than the alternative one both in the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inally, latent means analyses by gender were not to be calculated because partial scalar invariance was dismissed in the multi-group analysi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