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53.161
3.144.253.161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Negative and Positive valuation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김성주 ( Sung Joo Kim ) , 이영순 ( Young Soon Lee )
상담학연구 14권 3호 1919-1938(20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408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평가염려 완벽주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인지 적 정서조절과 사회불안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라북도 내 3개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451명의 자료를 수집한 뒤, SPSS 18·0을 사용하여 모든 변인들의 상관을 분석하였고, AMOS 18·0을 사용하여 모형의 구조를 검증한 후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평가염려 완벽주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인지적 정서조절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자료 분석 결과 측정모형이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인지적 정서조절이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각각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사회불안에 직접효과만을 나타냈으나,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사회불안에 직접효과와 함께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간접효과도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fear of positive evaluatio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anxiety·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data from 451 college students at 3 universities in Chonbuk indicated that the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produced a good fit to the dat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fear of positive evaluatio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Second, fear of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Thir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fear of positive evaluation had influence on social anxiety· Fourth, fear of negative evaluation had a direct effect on social anxiety, but fear of positive evaluation had an a direct effect and an indirect effect on social anxiety with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as a mediato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