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51.3
3.16.51.3
close menu
KCI 등재
국어 의식의 개념화와 교육적 해석
Conceptualiz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and its educational interpretation
고춘화 ( Chun Hwa Ko )
국어교육학연구 47권 153-185(33pages)
UCI I410-ECN-0102-2014-700-001493332

이 논문의 목적은 ``국어 의식``의 개념화 및 해석을 통해 교육적 실현 방향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국어 의식``은 화자의 국어에 대한 다양한 생각과 태도라는 일반적 의미에 언어에 대한 인식적 사고 작용을 강조하는 언어 인식의 의미가 융합되어 개념화되었다. ``국어 의식``은 문법 교육에서 인지적 가치와 정의적 가치를 연계·통합하는 지점으로 작용한다. ``국어 의식``은 언어에 대한 호기심과 민감성 촉진, 언어에 대한 인식적 사고와 탐구, 화자 자신의 국어 의식에 대한 반성적 고찰과 메타적 인식, 국어에 대한 가치와 얼의 형성에 이어지는 교육적 의미를 지니고 이는 문법 교육의 이상적 학습자의 모습을 상정한다. 기존 연구와 문법 교육과정의 검토를 통해 ``국어 의식``에 대한 의미를 다음과 같이 개념화하였다. 1. 인간의 본질적 특성인 언어 자체, 즉 ``국어``에 대한 호기심과 탐구심 2. 개인의 국어사용에 대한 반성적 고찰 : 언어 메타 의식과 논리적 사고 3. ``국어``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 : 얼의 형성 문법 교육과정에서 ``국어 의식``은 단어의 형성과 국어사 관련 내용 기준에서 명시되어 제시되었다. 단어의 형성 부분은 새로운 말의 형성 과정을 탐구하여 인지적 측면에서의 국어 의식의 형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국어사 관련 내용에서는 국어의 역사, 특히 국어 수호의 역사와 선인들의 국어 연구 및 수호 활동을 통해 정의적 측면에서의 가치(얼)를 형성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국어 의식``을 중층적 구조로 해석할 때 교육적 가치를 따져 기준을 세우고, 논리적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올바른 ``국어 의식``의 형성은 국어를 통한 민족의 ``얼``을 형성하고 국어 문화를 창조하는 바탕이 된다. 또한 이는 문법 교육의 한 지향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direction for educational realization through conceptualiz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and its educational interpretation. Through reviewing existing study and grammar education process, a meaning of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was conceptualized as follows. 1. Curiosity and inquiry spirit about language itself which is human essential characteristic, that is, ``national language`` 2. Reflective study about use of national language by individual : language meta consciousness and logical thinking 3. Attitude and view of value about ``national language`` : formation of spirit In the educational process of grammar,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was clearly shown and suggested on formation of words and criteria of content related to Korean language history. Part of formation of words emphasizes form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in the cognitive aspect through exploration of formation process of new words. The content related to Korean language history focuses on formation of spirit in the emotional aspect through history of Korean language, especially, history of guarding Korean language, study of Korean language and activity to guard Korean language by predecessors. When interpreting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as twofold structure,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criteria based on educational value and to logically organize educational process. For qualitative development of grammar educ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properly include value of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into existing educational content focusing on language unit. Formation of right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forms ``spirit`` of national people through Korean language and becomes basis of creating Korean language culture. And this could be a goal for grammar educ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