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2.96.146
3.142.96.146
close menu
KCI 등재
한문교육과 창의,인성교육 -이론적 기반의 모색-
Sino-Korean Education and Creativity,Humanity Education -Searching for the Theoretical Basis-
정재철 ( Jae Chul Jung )
한문교육논집 40권 9-39(31pages)
UCI I410-ECN-0102-2014-700-001472117

한문은 고전어이자 문자 언어라는 점에서 한문 문장을 한글 문장으로 옮기는 과정은 국어나 외국어에서는 찾기 어려운 독특한 특징이 발견된다. 본 연구는 한문의 언어?문화적 성격에 의해 확립된 전통적 한문의 해석 방식에 대해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고, 한문교육에서 추구하는 창의?인성교육에서 이들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중국은 동진 시대에 산스크리트어를 중국어로 번역하면서 ‘格義’ 방식을 적용하였다. 이후 중국과 일본에서는 외국어를 번역하면서 위와 같은 ‘格義’ 방식을 적용하여 신문명 한자 어휘를 만들었다. ‘格義’는 외국어로 표현된 어휘의 뜻을 중국 고전에서 사용된 한자 어휘와 비교하고, 외국어의 뜻과 가장 적합한 한자 어휘와 짝을 맞추는 사고 과정을 거친다. 한국은 중종 13년에『飜譯小學』을 간행하였다. 이 책은 훈민정음이 창제된 이후에 한글을 사용하여 언어의 네 가지 기능을 모두 구현한 意譯式으로 번역한 것이다. ‘意譯’은 직역으로는 의미가 잘 전달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 문장 전체의 뜻에 내포되어 있는 의미를 파악하고, 문장 전체의 뜻을 잘 전달할 수 있는 한글 표현을 만드는 사고 과정을 거친다. 조선중기에 尹根壽는 崔?과 한유의 문장을 토론한 내용을 모아『漢文吐釋』을 간행하였다. ‘吐釋’은 ‘懸吐’에서의 ‘吐’와 ‘注釋’에서의 ‘釋’을 합친 것이다. ‘懸吐’는 해당 句에 吐[口訣]를 단 것이고, ‘注釋’은 본문의 뜻을 풀이한 것이다. 이 책에 제시된 토의 구실과 역할을 통해 한문 문장의 뜻을 풀이하거나, 문장에 구사된 문법의 기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조선 중기에 이황은『古文眞寶』를 문인들에게 ‘講解’한 내용을 모아『古文前集講解』를 편찬하였다. 이 책에서 이황은 다양한 자료를 통해 작자와 역사적 배경 등을 면밀히 검토하였고, 주희에 의해 완성된 도학적 사유에 기초하여 원문의 의미를 재해석하였다. 이 책은 고전 작품들을 도학적 사유로 재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인성을 함양하는데 도움을 준다. 학생들은 위와 같은 네 가지의 전통적 한문 해석 방식을 적용하여 한자 어휘와 한문 문장을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사고의 확장과 사고의 수렴 과정을 거치면서 유추적 사고, 분석적 사고 등과 같은 인지적 사고 능력이 향상될 수 있고, 동시에 전통적 가치관을 담고 있는 한자 어휘들과 한문 문장을 익히는 과정에서 인성이 함양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Translation of Sino-Korean sentences into Korean sentences shows unique characteristics because Sino-Korean is a classical and written language. In this study I classified the traditional translating methods established by the linguist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o four ways, and searched the ways to apply them to creativity?humanity education the Sino-Korean education is pursuing. Chinese applied the ‘Gyokui格義’ style when they translated Sanskrit to Chinese. After that China and Japan had applied the ‘Gyokui’ style and made new cultural Chinese vocabulary when they translated foreign language into their language. ‘Gyokui’ goes through the thought process of the comparison of the foreign language vocabulary meaning with the Chinese meaning from the Chinese Classical books and match it with the most suitable Chinese. In the 13th year of King Joongjong中宗, Korea published Beonyoksohak 飜譯小學, which was the Korean version of Sohak小學. This translation of Bonyoksohak was published in Korean after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 and freely translated with embodying the four functions of the language. The free translation goes through the thought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whole meaning which couldn`t be possible to grasp by literal translation and of writing the proper Korean expressions to transmit the entire meaning of the sentences. In the middle period of Joseon, Yungunsoo尹根壽 edited Hanmoon- toseok漢文吐釋 after gathering his discussion with Choilib崔? about Hanyou韓愈`s works. ‘Toseok吐釋’ is a compound word with ‘To吐’ in ‘Hyonto懸吐’ and ‘Seok釋’ in ‘Jooseok註釋’. ‘Hyonto’ is to add hangeul suffixes at the pertinent phrase, and ‘Joosok’ is to explain the meaning of the text.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To吐’ in this book helped students comprehend the meaning or understand the grammatical functions in the classical Chinese sentences. Lee Hwang edited Gomoonjeangibganghae古文前集講解 with the contents of his Explanations of Gomoonjinbo古文眞寶 for literary men in the middle period of Joseon朝鮮, In this book, Lee Hwang李滉 examined thoroughly about the author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s through the various materials, and reinterpreted the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on the basis of the moral philosophical speculation completed by Joohi朱熹. The process of reinterpreting classics like this book with moral philosophical speculation will help students cultivate their humanities. By studying Sino-Korean vocabularies and sentences with the application of the four traditional translation ways and by expanding and accepting thoughts through the process,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improve cognitive abilities such as analogical and analytic thoughts, and cultivate their humanities while studying the vocabularies and sentences that include many traditional valu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