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8.78.41
3.128.78.41
close menu
KCI 등재
상담일반 : 자아가치관 검사 타당화 연구 -자아가치관 일치도 척도를 중심으로-
A Validation Study of Self Concept Inventory: focused on self concept congruence
유정미 ( Jung Mi Ryu ) , 김정규 ( Jung Kyu Kim )
상담학연구 10권 1호 125-142(18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421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다면적인 자기 개념(self concept)을 측정하는 자아가치관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검사의 유용 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전 연구에서 미흡 했던 자아 가치관 일치도에 대한 연구를 보강하여, 자아 가치관 일치도의 문항 분석을 추가하고, 모호한 문항을 수정하였다. 본 연구의 임상 집단은 사고장애나 망상이 극심하지 않으며, DSM-IV 축 2 장애가 공병하지 않는 정신과 입원 환자들로, 정신분열병 환자 24명, 양극성 장애 환자 15명, 알콜 의 존 환자 20명으로 총 59명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비 임상집단은 그들과 연령과 학력이 대응되는 비 임상집단 170명의 자료가 분석이 실시되었다. 자아가치관 타당화 연구에 사용된 검사지는 자아가치관 검사와 수렴 타당도와 변별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MMPI 168 적응검사(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BAI(Beck``s Anxiety Inventory), SEQ (Rosenberg Self-Esteem Questionnaire)였다. 이 검사지들은 선행 연구와 다른 척도 중 널리 쓰이는 검사지를 통해 검증 하기 위해 선정 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가치관 검사 신뢰도 검증을 위한 Cronbach alpha는 현실적 자아가치관에서 .817-.887, 자아가치관 일치도에서 .913-.941였으며, Spearman-Brown coefficient는 현실적 자아가치관은 .67-93, 자아가치관 일치도는 .87-.93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둘째, 자아가치관 검사의 기준타당도를 구하기 위해 임상 집단과 비 임상집단의 성별, 연령, 교육수준을 공변인으로 하고 공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신분열병과 알코올 의존 집 단은 비 임상집단보다 모든 척도에서 유의미하게 점수가 낮았으나, 양극성 장애 집단은 비 임상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 가 없었다. 추가적으로, 기준타당도 검증을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대상인 모든 임상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 했을 때는 전체 판별적중률은 67.7%였고. 양극성 집단을 제외 판별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판별적중률은 80.4%로 높아졌다. 양극성장애 집단을 제외 하였을 때 자아가치관 검사는 임상 집단 간 서로 의미 있게 구분하였다. 셋째, 자아가치관 의 구성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자아가치관검사와 MMPI 168 적응검사, SEQ, BAI의 점수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자 아가치관 검사와 SEQ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BAI와 MMPI 168 적응검사의 하위 임상척도들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볼 때 자아가치관 검사는 높은 신뢰도와 기준타당도, 구성타당도를 확보 하였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자아가치관 일치도의 문항분석을 통해 자아가치관 일치도 76문항 중 32문항을 삭제하고 새로 5문항을 추가하여 총 49문항으로 자아가치관 일치도 척도를 재구성 하여 검사의 효율성을 증가시켰다. 연구 결과, 자아가치관 검사가 임상 현장 및 상담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만큼 신뢰로운 검사이며, 임상 및 상담 현장에서 좋은 척 도가 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ation of the self-concept inventory focusing on the self-concept congruence part which was lack previously. This study formed the clinical group consists of 24 schizophrenic patients, 15 bipolar disorder patients, and 20 alcohol dependent patients who are the age between 20 and 60 and the non-clinical group of 170 who are similar in age and education. The study subjects were tested for self-concept inventory, MMPI168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BAI (Beck`s Anxiety Inventory), and SEQ (Rosenberg Self-Esteem Questionnaire). In reliability test of the self-concept inventory was showing high level of reliability. To get the criterion related validity,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of covariance letting the gender, age, and education level of both clinical and non-clinical group as the covariance. The result showed that the score of schizophrenic and alcohol dependent patients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in every scal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discriminant analysis to test the criterion related validity, the validity hit ratio was 67.7% when the whole clinical group was tested. However, when the test was conducted to the group excluding the bipolar disorder patients, the criterion hit ratio was higher at 80.4%. When excluding the group of bipolar disorder patients, the self-concept inventory divided the groups significantly. To get the construct validity, this study compared the correlations of the self-concept inventory, MMPI 168, SEQ, and BAI scores.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concept inventory and SEQ while there w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concept inventory and the sub-clinical scales of BAI and MMPI 168. This study analyzed the questions in the self-concept congruence and deleted 32 questions out of 76 self-concept congruence questions and added five questions comprising the total of 49 question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test.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 self-concept inventory is very reliable test enough to be usedat actual clinical practices and suggest that it would be a great scale to detect the change of the patients at actual practices through researches on self-concept congruence scale.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som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considere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through the suggestions for the succeeding stud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