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73.112
3.145.173.112
close menu
KCI 등재
상담일반 : 공감피로에 대한 고찰: 상담자를 위한 제언
Compassion Fatigue: Implications for Counselors
이자영 ( Ja Young Lee ) , 유금란 ( Kum Lan Yu )
상담학연구 11권 1호 19-36(18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558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외상에 의해 고통을 경험하고 있는 내담자를 상담함으로써 상담자가 힘들어하고 심지어는 신체적, 심리적 병까지 걸리는 것을 공감피로라고 한다. 이러한 공감피로는 내담자에 대한 관심 저하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감피로의 개념, 유사개념과(이차외상후스트레스, 대리외상, 소진)의 차이, 발달과정을 통해 공감피로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러한 공감피로를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개입 방안을 알아보았다. 본 개관 연구를 통해 그 동안 간과되어 왔던 공감피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처 전략을 모색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Compassion fatigue can be defined as the formal caregiver`s reduced capacity or interest in being empathic or "bearing the suffering of clients" and is "the natural consequent behaviors and emotions resulting from knowing about a traumatizing event experienced of suffered by a person" (Figley, 1995, p.7; Figley 2002). Counselors experiencing compassion fatigue might affect negatively to the relationship with clients. Thu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literatures related to compassion fatigue, other similar terms (e.g. secondary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vicarious trauma, and burnout) and effective preventing and intervening strategies for compassion fatigue. This could provide an opportunity to counselors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compassion fatigue and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to cope with it. Implications for counselor educators and supervisors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