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74.248
18.221.174.248
close menu
KCI 등재
상담일반 : 춘향전의 자기실현화 과정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접근
Analytical-Psychological Approach to the Process of the Self-actualization in "Choon-Hyang Jeon"
이선미 ( Sun Mi Lee ) , 천성문 ( Sung Moon Cheon ) , 이영순 ( Young Soon Lee )
상담학연구 11권 1호 125-137(13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564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고전 춘향전이 춘향이 삶의 궁극적 목표인 자기실현을 이루는 과정을 다룬 이야기라는 점을 밝히고, 분석심리학적 입장에서 춘향전을 보는 것이 어떤 의의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춘향과 이몽룡은 본래 고귀한 영웅의 자아상을 가졌다. 춘향은 월매가 오랜 불임으로 고민하던 중 천지신명께기도하여 선녀의 태몽을 꾸고 얻은 자식이다. 월매의 꿈 속에서 춘향과 이몽룡이 적강한 천상의 존재라는 것이 밝혀지는데, 이것은 인간의 본래적 자아는 고귀하다는 것을 상징하고 있다. 둘째, 춘향은 현실적으로는 비천한 신분이지만 정신적으로는 양반의 페르조나를 가졌다. 이몽룡도 전형적인 양반의 페르조나를 지녔으나 두 사람은 때로 이런 페르조나에서 벗어나 인간적인 모습을 보여 주기도 한다. 셋째, 춘향과 이몽룡은 조선 시대 민중들의 집단적 아니마, 아니무스를 나타낸다. 개인적으로도 춘향의 아니무스가 투사된 대상이 이몽룡이고, 이몽룡의 아니마가 투사된 대상이 춘향이로, 그러기 때문에 둘은 첫 눈에 반하게 된다. 또한 전형적인 여성인 춘향에게 남성다운 강인함이, 이몽룡에게는 여성다운 감정이 나타나는 부분도 이들의 아니무스, 아니마를 보여주는 것이다. 넷째, 자아의 열등하고 부정적인 모습이 그림자라면 변사또에서 그런 모습을 찾을 수 있다. 변사 또는 부정적인 아니무스와 그림자가 합쳐져 자아를 파멸로 이끈 예라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춘향전의 중심 기둥은 춘향이 고난을 극복하고 자신의 본래 고귀한 모습을 찾아가는 자기실현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죽음 이후 춘향은 새로운 존재로 재생된다. 이전의 비천한 기생의 딸에서 양반의 부녀, 진정한 자유인이 되는 자격을 갖춘 것이다. 그리고 암행어사가 된 이몽룡이 춘향을 구원하고 둘은 결혼한다. 결혼이란 대립되는 두 요소의 결합이며 완전한 전체가 되는 것을 상징한다. 즉, 통과의례를 거쳐 마지막 도달점인 자기실현의 경지에 이른 것이다. 춘향은 힘든 제의 과정을 겪어 내고 완전한 자기실현을 이루었다. 이상에서 춘향전은 무의식을 의식화해가는 과정, 즉 자기실현화 과정을 분석심리학적 접근으로 조망이 가능하였으며, 그리고 연구의 의의를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process of Choon-Hyang`s self-actualization in Choon-Hyang Jeon, one of the Korea`s best-known classics, and to reflect on the significance to study the literature in the analytical-psychological point of view. Choon-Hyang Jeon can be valued as a novel which symbolically represented the unconsciousness of its contemporaries as it had been handed down orally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re appeared a number of stories that were slightly differentiated when they were recorded in a written formf sowever, the structures of those stories have some similarities in common to those of the heroic myths. First, Choon-Hyang and Mong-Ryong both are born with a heroic ego. Choon-Hyang`s remarkable birth particularly tells her predisposition to be a heroine. In the dream of her mother, Wal-M`s, it is revealed that Choon-Hyang and Mong-Ryong are celestial beings, which symbolizes the dignity of human being`s innate ego. Second, Choon-Hang mentally takes on a re sona of the noble class, yangblassalthough she was of humble birth. It is displayed in the course of her growth and in her behavior. Third, Choon-Hyang and Mong-Ryong represent the collective anima and animus of the masses in Chosun Dynasty. These are also indignied in the sense that Choon-Hyang has manly courage as a typical woman and Mong-Ryong showcolllignie fellings like a woman doshe Nsxt, as forng-eriff Byoen, he is an sxample of being ruined by his own negative animus and ego inferiority complex which is a s-Ryongof a human being. Then, the mltn point of Choon-Hyang Jeon is that she finally conquers all the trials and obtltns her dignity as a human being, which is a set of self-actualizationense taffligity o that she gosh through can be re ceived as a go.ditionalestd obtltn, a rite of passageense trite of passage can be divided into isolbtltn, pch fignity, ollath and reschrectionenChoon-Hyang is fatally lashed and sent to a prison. It is the time for her to struggle with fear of being isolated from the world. She reflects on herself in prison and confronts death by way of purification. It is the acme of the rite. After the death she returns to life and becomes a different being from the past, a daughter of a gisaeng. She possesses qualifications for being free and becomes a wife of yangban in the end. The marriage with Mong-Ryog means reconciliation of two conflicting elements and their being the whole one, that is, she reaches the final goal of the rite of passage, self-actualization. Accordingly, the old stories dealing with the psychological state of human beings help us realize that we are under an obsession of the conscious world and also have an insight into the unconscious. An old story like Choon-Hyang Jeon is a symbol of unconsciousness and its psychological theme is a person`s self-actualization. Therefore, a reader can make gradual progress in attaining his or her own self-actualization by having an empathy with Choon-Hyang who becomes aware of her unconsciousnes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